13강 무관한 문장 파악
Let's Check It Out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Due to society’s emphasis on ability as a mainstay of self-worth, diminished feelings of self-worth and shame are brought about following failure which might suggest low ability. ①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expended and there are no circumstances one can point to (headache, emotional upset, noisy study environment, etc.) which account for poor performance. ② Where it is possible to point to some mitigating circumstance which might explain poor performance, the link between poor performance and low ability is blurred. ③ Where there is no such ready-made alibi, the possibility of poor performance becomes all the more threatening. ④ We know that it leads to a lot of problems, so it may not be surprising that having a low self-worth is the highest predictor of developing anxiety or depression. ⑤ This conclusion of low ability therefore becomes all the more likely as failures accumulate.
✽mitigating: 정상 참작을 할 만한
{해석}
사회가 자아 존중감의 주축으로 능력을 강조하기 때문에, 부족한 능력을 암시할지도 모르는 실패 뒤에는 자아 존중감 감소와 수치심이 초래된다. 상당한 노력을 들였으며, (두통, 정서적 혼란, 시끄러운 공부 환경 등) 부진한 학업 성과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할 수 있는 상황이 없을 때 이것은 특히 사실이다. 부진한 학업 성과의 원인을 밝혀 줄지도 모를 어떤 정상 참작을 할 만한 상황을 지적할 수 있는 경우에는 부진한 학업 성과와 부족한 능력 사이의 연관성이 모호해진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변명이 ‘없는’ 상황에서는 부진한 학업 성과의 가능성이 그만큼 훨씬 더 위협적이 된다. (우리는 그것이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가지는 것이 불안이나 우울증이 생기는 가장 강한 전조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부족한 능력에 대한 이러한 결론은 실패가 누적될수록 그만큼 훨씬 더 가능성이 높아진다.
Exercises
1.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hether a parent or thresholder, we share cultural norms about what feelings and behaviors are expected and therefore what feelings and behaviors are acceptable. We share assumptions about when adolescence ends and what we should become when it ends. ① Repeatedly parents describe children of nineteen, twenty, and twenty-one as “all grown up” — a term that is accompanied by a flicker of the hand, indicating how the grown-up child has gone away. ② If being twenty-one means being an adult, and if being an adult means not needing one’s parents, then it is humiliating to admit this need. ③ Thus, their self-esteem comes from learning to accept who they are by seeing their insufficiencies and still choosing to like themselves. ④ A young adult continues to be dependent on his parents’ love, admiration, and approval to define and stabilize his sense of self. ⑤ When this dependence seems “wrong,” he suffers a new version of separation anxiety.
✽thresholder: 성인의 문턱에 있는 청소년
✽✽flicker: 휙 움직이는 동작
{해석}
부모든 성인의 문턱에 있는 청소년이든, 우리는 어떤 감정과 행동이 기대되는지와 그것에 따라서 어떤 감정과 행동이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한 문화적인 규범을 공유한다. 우리는 언제 청소년기가 끝나는지와 그것이 끝날 때 우리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추정을 공유한다. 반복해서 부모들은 19세, 20세, 21세의 자녀를 ‘다 컸다’라고 묘사하는데, 그것은 다 큰 아이가 어떻게 떠나갔는지를 나타내며 손을 휙 움직이는 동작이 동반되는 용어이다. 만일 21세가 되는 것이 성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면, 그리고 성인이 되는 것이 부모가 필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러한 필요를 인정하는 것은 굴욕적이다. (따라서, 그들의 자부심은 자신의 불충분함을 알지만, 여전히 자신을 좋아하기로 선택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받아들이는 것을 배우는 것으로부터 나온다.) 젊은 성인은 자신의 자아감을 분명하게 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계속하여 부모의 사랑, 칭찬, 인정에 의존한다. 이러한 의존이 ‘잘못된’ 것으로 보이면, 그 사람은 새로운 형태의 분리 불안을 겪는다.
2.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It is very common for parents to streamline their children into a particular sport or competition. Johnny wants to play in the NHL, or Mary wants to be a professional soccer player and bring home an Olympic gold medal. ① In both cases, parents can misinterpret a child’s early love for a sport as an opportunity to focus programs, coaching, and skill development on one particular sport. ② We have witnessed children as young as six years of age whose entire physical development is geared around the particular movements of a sport. ③ However, specialization is necessary for achieving high performance in any sport because it leads to physical, technical, tactic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④ In reality, children should be encouraged to play games, activities, and multiple sports in order to optimize athletic development, muscle strength, and neural programming. ⑤ Children are not just little adults: they have complex, distinc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NHL: (북미)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National Hockey League)
{해석}
부모가 자녀를 어떤 특정 스포츠나 대회에 맞춰 능률적으로 지도하는 일이 매우 흔하다. Johnny가 (북미)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에서 뛰기를 원하거나, Mary가 프로 축구 선수가 되어 올림픽 금메달을 집으로 가져오기를 원한다고 하자. 두 경우 모두 부모가 한 스포츠에 대한 자녀의 초기 애착을 한 가지 특정 스포츠에 프로그램, 코칭, 기술 개발을 집중시킬 기회로 잘못 해석할 수 있다. 우리는 모든 신체 발달이 한 스포츠의 특정 동작에 맞춰지는 6세 정도의 어린이들을 목격해 왔다. (그러나 어떤 스포츠에서든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전문화가 필요한데, 그것은 전문화가 신체적, 기술적, 전술적, 심리적 적응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사실, 아이들은 운동 발달, 근력, 신경 프로그래밍을 최적화하기 위해 게임, 활동 및 다양한 스포츠를 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아이들은 단지 작은 어른이 아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복잡하고 뚜렷이 다른 생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greenwashing and symbolic corporate environmentalism is the way in which symbol and substance are connected. In conventional definitions of greenwashing, a firm’s communications can be separated from actual environmental impacts. ‘Greenwashing’ is the label given when deliberate positive disclosure exists in parallel with poor substantive environmental performance. ① Thus, by definition, a firm’s communications are disconnected from environmental impact. ② There is only a symbolic link between the signal — such as adopting an empty eco-label — and the abstract concept it is intended to signify (e.g., corporate environmental concern). ③ Eco-labelled products are environmental due to the effect of reducing pollutant emissions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re economical due to the effect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pollutant treatment costs. ④ In greenwashing, there is no necessary link between the symbol and materially improved environmental performance. ⑤ Greenwashing is a special case within symbolic corporate environmentalism in which firms deliberately manipulate symbols so as to open up a gap between their symbolic and substantive performance.
✽greenwashing: 위장환경주의
{해석}
위장환경주의와 상징적 기업 환경주의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상징과 실체가 연결되는 방식이다. 위장환경주의의 통상적 정의에서는, 기업이 전달하는 내용이 실제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분리될 수 있다. ‘위장환경주의’라는 말은 의도적인 긍정적 공개가 좋지 않은 실질적 환경 성과와 병행하여 존재할 때 부여되는 꼬리표이다. 따라서 분명히, 기업이 전달하는 내용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단절되어 있다. 이름뿐인 에코 라벨을 쓰는 것과 같은 신호와 그것이 나타내고자 의도된 추상적인 개념(예를 들면, 기업의 환경에 대한 관심) 사이에는 상징적 관계만 있을 뿐이다. (에코 라벨이 붙여진 제품은 제조 과정 전반에 걸친 오염 물질 배출 감소 효과로 인해 환경적이며, 에너지 소비와 오염 물질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로 인해 경제적이다.) 위장환경주의에서는, 그 상징과 실질적으로 개선된 환경 성과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 위장환경주의는 기업이 자신의 상징적인 성과와 실질적인 성과 사이의 격차를 벌리도록 의도적으로 상징을 조작하는 상징적 기업 환경주의 내의 특별한 사례이다.
4.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Until relatively recently, it had been widely assumed that human language was unique: while some animals may have rudimentary forms of communication, these are limited, and relatively uninteresting. ① Moreover, so the myth goes, human language is unrelated to animal forms of communication. ② Even if it did derive from an evolutionarily earlier form of human proto-language, this bore no relation to the communication systems found, today, amongst other primates, mammals and countless other types of species in the animal kingdom. ③ But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on the way other species communicate, from apes to whales, from vervets to starlings, increasingly suggests this may overstate the divide between human language and non-human communicative systems. ④ Research suggests that the human brain exhibits a language readiness not found in the brains of other species. ⑤ Many of th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language are found, to varying degrees, across a broad spectrum of animal communication systems.
✽rudimentary: 기본적인, 미발달의
✽✽vervet: (남아프리카산) 긴꼬리원숭이
✽✽✽starling: 찌르레기
{해석}
비교적 최근까지, 인간의 언어가 유일하고, 일부 동물에 기본적인 의사소통 형태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이것들은 제한적이고, 비교적 흥미롭지 않다고 널리 추정되어 왔었다. 게다가, 인간의 언어는 동물의 의사소통 형태와 관련이 없다는 근거 없는 사회적 통념도 있다. 비록 인간의 언어가 진화의 면에서 더 초기 형태의 인간 조어(祖語)에서 실제로 유래했다 하더라도, 이것은 오늘날 동물계에 있는 다른 영장류, 포유류 그리고 수많은 다른 유형의 종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의사소통 체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유인원에서 고래에 이르기까지, 긴꼬리원숭이에서 찌르레기에 이르기까지 다른 종들이 의사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축적된 연구가 점점 더 시사하는 바는, 이것이 인간의 언어와 인간 이외의 의사소통 체계 사이의 차이점을 과장하여 말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연구는 인간의 뇌가 다른 종의 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언어적 준비성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 준다.) 언어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 중 많은 것들이 광범위한 동물 의사소통 체계 전반에서 다양한 정도로 발견된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5강 문장 삽입 (0) | 2022.07.18 |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4강 글의 순서 파악 (0) | 2022.07.17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2강 함축 의미 추론 (0) | 2022.07.17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1강 빈칸 추론 (2) (0) | 2022.07.17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0강 빈칸 추론 (1) (0) | 2022.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