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기타/수능특강 영어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2강 함축 의미 추론

by ₯₺﷼₳
반응형

12강 함축 의미 추론

 

Let's Check It Out

밑줄 친 Meaning is made, not foun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language of ‘pets’ uses the obvious similarities between humans and other animal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kinship. ‘Pets’ may enjoy the same ethical consideration as family members: to be fed when hungry, protected from cold, treated when ill. In many ways, they are guest members of human culture. However, this is a human choice. If we wish to eat the animal or wear its skin, it would not be desirable to speak of ‘it’ as gendered or as a member of the family. So we usually use a language which tacitly emphasises human uniqueness rather than the features we share with other animals. The potential ethical difficulty of eating a family member is thereby avoided. Within each discourse, our ethical choices are coded within the tacit meanings of the language itself, so that they appear to be natural rather than chosen. But there is no ‘natural’ or neutral way to talk ethically about animals. Meaning is made, not found.

✽tacitly: 암묵적으로

① For animals, we are only animals of another species.

② Too many opinions are being raised about animal ethics.

③ The argument for perceiving animals as resources is gaining ground.

④ Having animals as family members makes our lives more meaningful.

⑤ We give animals different values of existe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해석}

‘반려동물’이라는 말은 연대감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인간과 다른 동물 간의 명백한 유사성을 활용한다. ‘반려동물’은 가족 구성원과 똑같은 윤리적 배려를 누릴 수도 있어서, 배고플 때 먹이를 받고, 추위로부터 보호받고, 아플 때 치료받는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그것은 인간 문화의 손님이다. 하지만 이것은 인간의 선택이다. 만약 우리가 그 동물을 먹거나 그것의 가죽을 착용하고 싶다면, ‘그것’을 성별을 반영하여 혹은 가족의 일원으로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우리가 다른 동물과 공유하는 특징보다는 인간의 유일함을 암묵적으로 강조하는 말을 사용한다. 가족을 먹는다는 것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어려움을 그렇게 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각각의 담론에서, 우리의 윤리적 선택은 말 그 자체의 암묵적 의미 안에 암호화되어 있어서, 선택된 것이라기보다는 자연스러워 보인다. 하지만 동물에 대해 윤리적으로 논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혹은 중립적인 방법은 없다. 의미는 만들어지는 것이지, 발견되는 것이 아니다.

 

Exercises

1. 밑줄 친 ‘less is more’ gave way to ‘more and more’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re was, perhaps, no better indicator of the change in consumption culture than the shift in the meaning of the word ‘consumption’ itself. After centuries in which the body politic had been modelled on the human body, the consumption of goods began to be distinguished from its epistemological cousin, consumption as a wasting disease. Personal excess, of course, continued to attract moral critics, but it was no longer a dangerous social disease. Instead, a chorus of new voices defended man’s appetite for more as the impetus of human advancement. Here was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overturning centuries of received wisdom: ‘less is more’ gave way to ‘more and more’. Once regarded as a drain, to be checked and kept under control, consumption was now defended as a source of wealth. In 1776 Adam Smith pronounced it the ‘sole end of all production’.

✽epistemological: 인식론상의

✽✽impetus: (일의 추진에 필요한) 자극(제)

① Consumption and production are no longer interrelated.

② Small businesses have merged into large corporations.

③ The virtue of saving was replaced by that of consumption.

④ Individual consumption was influenced by national policy.

⑤ Domestic consumption led to a reduction in international trade.

 

{해석}

아마도, ‘소비’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 변화만큼 소비문화의 변화를 보여 주는 더 좋은 지표는 없었을 것이다. 국가가 인체를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세기들이 지난 후에, 상품의 소비는 그것의 인식론상의 사촌인 낭비 병으로서의 소비와 구별되기 시작했다. 물론, 개인적인 무절제는 계속해서 도덕적 비판자들을 끌어모았지만, 그것은 더 이상 위험한 사회적 질병은 아니었다. 대신, 새로운 목소리들은 이구동성으로 더 많은 것에 대한 인간의 욕구를 인간 발전의 자극제라고 옹호했다. 여기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는데, 수 세기 동안 수용된 사회적 통념을 뒤집었다. 즉 ‘더 적은 것이 더 좋다’는 것이 ‘점점 더 많이’에 자리를 내주었다. 한때 억제되고 통제되어야 할 고갈로 여겨졌던 소비가 이제 부의 원천으로 옹호되었다. 1776년 Adam Smith는 그것을 ‘모든 생산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선언했다.

 

2. 밑줄 친 meet those writers more than halfway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understand difficult passages, you need to translate them into your own words — to build a bridge, in effect, between the passage’s unfamiliar terms and ones more familiar to you. Building such a bridge should help you connect what you already know to what the author is saying — and will then help you move from reading to writing, providing you with some of the language you will need to summarize the text. One major challenge in translating the author’s words into your own, however, is to stay true to what the author is actually saying, avoiding what we call “the closest cliché syndrome,” in which one mistakes a commonplace idea for an author’s more complex one. The work of complex writers, who frequently challenge conventional thinking, cannot always be collapsed into the types of ideas most of us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refore, when you translate, do not try to fit the ideas of such writers into your preexisting beliefs, but instead allow your own views to be challenged. In building a bridge to the writers you read, it is often necessary to meet those writers more than halfway.

 

① investigate the writers’ other works extensively

② look for common things between the writers and you

③ interpret the writers’ words based on your own beliefs

④ paraphrase the writers’ ideas as simply as possible

⑤ focus more on the writers’ intended meaning than on your assumption

 

{해석}

어려운 구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자신의 말로 옮겨야 하는데, 다시 말해 그 구절의 익숙하지 않은 용어와 자신에게 더 익숙한 용어 사이에 사실상 다리를 놓아야 한다. 그런 다리를 구축하는 것은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저자가 말하는 내용과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고, 그런 다음 원문을 요약하는 데 필요할 언어를 일부 제공하여, 읽기에서 쓰기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저자의 말을 자신의 말로 옮기는 데 한 가지 큰 어려움은 저자가 실제로 말하는 바에 충실하면서, 평범한 개념을 저자의 더 복합적인 개념으로 오인하는, 이른바 ‘가장 가까운 상투적 문구 증후군’을 피하는 것이다. 복합적인 사고를 하는 저자들은 관습적인 사고의 진실성을 자주 의심하므로, 그들의 글이 우리 대부분이 이미 잘 알고 있는 유형의 개념으로 항상 짧게 정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저자의 말을 자신의 말로) 옮길 때는 그러한 저자들의 생각을 여러분의 기존 신념에 맞추려고 하지 말고, 대신에 여러분의 견해가 의심될 수 있도록 허용하라. 여러분이 읽고 있는 저자들과의 다리를 놓을 때, 그 저자들을 절반 이상 가서 만나는 것이 자주 필요하다.

 

3. 밑줄 친 uses his superior “interactive knowledge”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rivalry between Sherlock Holmes and the evil genius Professor Moriarty illustrates how indeterminacy can arise as a natural by-product of rational agents second-guessing each other. When the two first met, Moriarty was eager, too eager, to display his capacity for interactive thinking by announcing: “All I have to say has already crossed your mind.” Holmes replied: “Then possibly my answer has crossed yours.” As the plot unfolds, Holmes uses his superior “interactive knowledge” to outmaneuver Moriarty by unexpectedly getting off the train at Canterbury, thwarting Moriarty, who had calculated that Paris was Holmes’s rational destination. Complicated though it is, Moriarty failed to recognize that Holmes had already recognized that Moriarty would deduce what a rational Holmes would do under the circumstances, and the odds now favored Holmes getting off the train earlier than once planned.

✽indeterminacy: 불확정성

✽✽thwart: 좌절시키다

✽✽✽deduce: 추론하다

① infers Moriarty’s true intentions without meeting him

② anticipates Moriarty’s actions and devises ways to counter them

③ delivers his message to Moriarty only using contextual hints

④ outperforms Moriarty’s expectations in conversation skills

⑤ promptly sets up a situation from which Moriarty can’t escape

 

{해석}

Sherlock Holmes와 사악한 천재인 Moriarty 교수 간의 경쟁은 합리적인 주체들이 서로를 예측하는 것의 자연스러운 부산물로 어떻게 불확정성이 발생할 수 있는지 분명히 보여 준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났을 때, Moriarty는 간절히, 너무나 간절히 자신의 상호 작용적인 사고 능력을 보여 주고 싶어서 “내가 해야 할 모든 말은 이미 당신의 머릿속을 지나갔소.”라고 단언했다. Holmes는 “그럼 아마 내 대답도 당신의 머릿속을 지나갔겠군요.”라고 대답했다. 줄거리가 전개됨에 따라, Holmes는 자신의 우월한 ‘상호 작용적인 지식’을 사용하여 예상치 못하게 Canterbury에서 기차에서 내림으로써 Moriarty의 허를 찔러 Moriarty를 좌절시켰는데, 그는 Holmes의 합리적인 목적지가 Paris라고 계산했었다. 그것이 복잡하긴 하지만, Moriarty는 Holmes 같은 합리적인 사람이 그 상황에서 무엇을 할지 Moriarty가 추론할 것을 Holmes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으며, 이제 가능성은 Holmes가 처음 계획된 것보다 더 일찍 기차에서 내리는 것으로 기울었다.

 

4. 밑줄 친 Obstacles to flow can be functional, and add value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s not enough to design for pure movement: The designer has to build in spaces, activities, and intersections where people will leave the flow. Pure movement can be bad for business. Jan Benthem, who with his partner Mels Crouwel is the master architect of Schiphol, told me with glee about the time when the commercial people insisted an area of seating be removed to make way for a row of shops. The result was the opposite of that intended: Revenues per square meter in the new shops, and in existing ones next to them, actually decreased after the redesign, which, as it happened, had created a kind of canyon through which passengers rushed like white water in the Rocky Mountains — too fast to stop and shop. The seats were put back. Flow designers like Jan Benthem and UN (United Net) Studio have learned from such experiences to pay attention to what they call “kaleidoscope moments” — the turns in flows where movement is tighter or more compact, or where they cross over other flows. “Obstacles to flow can be functional, and add value,” says Ben van Berkel, a UN Studio architect.

✽kaleidoscope: 만화경

① Welcoming and relaxing spaces are valuable settings for social interactions.

② Interior designers need to figure out how to grab people’s attention in a busy place.

③ The intensified competition between the existing and new shops can help them all prosper.

④ Interrupting the flow of customers with objects such as seats is financially beneficial to retailers.

⑤ Minimizing users’ unnecessary movement is advisable for designing multi-functional spaces.

 

{해석}

오직 이동을 위해서만 설계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설계자는 사람들이 흐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 활동, 그리고 교차점을 맞추어 넣어야 한다. 오직 이동만 하는 것은 사업에 나쁠 수 있다. 파트너인 Mels Crouwel과 함께 Schiphol 국제공항의 총괄 건축가인 Jan Benthem은 판매업자들이 좌석 구역을 없애고 일렬의 상점이 들어오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때에 대해 기쁨에 차서 나에게 말했다. 결과는 의도한 것과는 정반대였다. 새로 생긴 상점들과 그 옆에 있는 기존 상점들의 제곱미터당 수익은 설계 변경 후 실제로 감소했고, 그것은 공교롭게도 승객들이 로키산맥의 급류처럼 돌진하는 즉, 너무 빨라서 가던 길을 멈추어 물건을 살 수 없는 일종의 협곡을 만들었다. 좌석들은 다시 제자리에 놓였다. Jan Benthem과 같은 흐름 설계자들과 UN (United Net) Studio는 그러한 경험으로부터 자신이 ‘만화경 순간’이라고 부르는 것, 즉 이동이 더 빽빽하거나 더 조밀한 흐름의 전환, 혹은 흐름이 다른 흐름으로 건너가는 흐름의 전환에 유의하는 법을 배웠다. UN Studio의 건축가 Ben van Berkel은 “흐름의 장애물은 기능을 발휘하며 가치를 더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