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강 장문독해(1)
Gateway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lassifying things together into groups is something we do all the time, and it isn’t hard to see why. Imagine trying to shop in a supermarket where the food was arranged in random order on the shelves: tomato soup next to the white bread in one aisle, chicken soup in the back next to the 60-watt light bulbs, one brand of cream cheese in front and another in aisle 8 near the cookies. The task of finding what you want would be (a) time-consuming and extremely difficult, if not impossible.
In the case of a supermarket, someone had to (b) design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But there is also a ready-made system of classification embodied in our language. The word “dog,” for example, groups together a certain class of animals and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animals. Such a grouping may seem too (c) abstract to be called a classification, but this is only because you have already mastered the word. As a child learning to speak, you had to work hard to (d) learn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your parents were trying to teach you. Before you got the hang of it, you probably made mistakes, like calling the cat a dog. If you hadn’t learned to speak, the whole world would seem like the (e) unorganized supermarket; you would be in the position of an infant, for whom every object is new and unfamiliar. In learning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therefore, we’ll be learning about the structure that lies at the core of our language.
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Similarities of Strategies in Sales and Language Learning
② Classification: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Language
③ Exploring Linguistic Issues Through Categorization
④ Is a Ready-Made Classification System Truly Better?
⑤ Dilemmas of Using Classification in Language Education
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사물들을 함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은 우리가 항상 하는 일이고, 그 이유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식품이 순서 없이 진열대에 배열된 슈퍼마켓에서 쇼핑하려고 하는 것을 상상해 보라. 즉, 토마토 수프는 똑같은 통로의 흰 빵 옆에, 치킨 수프는 뒤쪽 60와트 백열전구 옆에, 어떤 크림치즈 브랜드는 앞쪽에, 또 어떤 것은 8번 통로 쿠키 근처에 있다는 것처럼 말이다. 여러분이 원하는 것을 찾는 일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어려울 것이다.
슈퍼마켓의 경우에는 누군가가 분류 체계를 고안해야 했다. 하지만 우리 언어에 담겨 있는 이미 주어진 분류 체계도 또한 있다. 예를 들어, ‘개’라는 단어는 특정 부류의 동물들을 함께 그룹으로 나누고 그것들을 다른 동물들과 구별한다. 그렇게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 분류라고 불리기에는 너무 추상적인(→ 분명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이것은 단지 여러분이 이미 그 단어를 숙달했기 때문이다. 말하기를 배우는 아이였을 때, 여러분은 부모님이 여러분에게 가르치려고 애쓰고 있었던 분류 체계를 배우기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했다. 그것을 익히기 전에 여러분은 아마도 고양이를 개라고 부르는 것 같은 실수를 했을 것이다. 여러분이 말하기를 배우지 않았다면, 온 세상은 체계적이지 않은 슈퍼마켓처럼 보일 것인데, 여러분은 모든 물체가 새롭고 낯선 유아의 처지에 놓일 것이다. 따라서 분류의 원리를 배울 때, 우리는 우리 언어의 핵심에 놓여 있는 구조에 관해 배우게 될 것이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Social interaction varies across what we might think of as social space. Drawing on his theatrical metaphor, Goffman analyzed this space into distinct areas. Stage actors prepare for their performances in dressing rooms and warm-up areas that are “backstage,” out of the view of audiences. In moving onto the stage itself, and especially “frontstage,” actors abruptly (a) enter the roles they have prepared for and practiced backstage. The transition is marked by changes in demeanor, body position, voice, and so on. By these means, actors become (b) different persons for the audience, as opposed to who they are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fellow actors backstage. But the same is true of life in general, Goffman argued. All of us prepare for public performances “backstage,” using the privacy of bedrooms and bathrooms to groom ourselves and otherwise strive for the effect we want to achieve when in public. Transitions between the two arenas are often marked by (c) distinctive gestures. Before leaving the backstage, we check one last time in the mirror for our appearance, correct our posture, and perhaps take a deep breath; while upon return we may exhale explosively, kick off our shoes, and flop down on a couch. When surrounded backstage by (d) intimates, our speech and dress are casual and we may feel free to perform grooming exercises that are taboo in public, while in the furthest recesses of our backstage, we carry out acts of intimacy or of fundamentally private grooming. Re-entry frontstage causes all these informalities and tabooed behaviors to be left behind. Our behavior now has to (e) object to explicit standards of correctness — formalities — that can be hard to learn and exacting to perform.
* demeanor: 태도, 몸가짐
** groom: 몸단장을 하다
*** flop down: 털썩 주저앉다
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Using Social Norms to Change Behavior
② How Does Conformity Influence Preferences?
③ Causes of Conflict: When Taboos Create Troubles
④ What Needs to Be Prepared for a Theater Audition?
⑤ Social Interactions: How We Act Front- and Backstage
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사회적 상호 작용은 우리가 사회적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전체에 걸쳐 다양하다. 연극의 비유를 이용하여, Goffman은 이러한 공간을 별개의 구역으로 분석했다. 무대의 배우는 ‘뒤 무대에’ 있는, 관객의 시야에서 벗어난 분장실과 준비 구역에서 공연을 준비한다. 본무대에 오를 때, 특히 ‘앞 무대에서’ 배우들은 갑자기 자신이 뒤 무대에서 준비하고 연습했던 역할을 시작한다. 그 전환은 태도, 자세, 목소리 등의 변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배우는 뒤 무대에서 자신과 동료 배우를 위해 있는 본래의 모습이 아니라, 관객을 위해 다른 사람이 된다. 하지만 이것은 인생 전체에서도 마찬가지라고 Goffman은 주장했다. 우리 모두는, 침실과 화장실에서의 혼자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몸단장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 앞에 있을 때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으려고 노력하면서, ‘뒤 무대에서’ 공연을 준비한다. 그 두 무대 사이의 전환은 흔히 뚜렷이 구별되는 몸짓에 의해 나타난다. 뒤 무대를 떠나기 전, 우리는 마지막으로 거울에 외모를 확인하고 자세를 고치고 어쩌면 심호흡을 하겠지만, 돌아오자마자 숨을 내뿜고, 신발을 차듯이 벗어 버리고, 소파에 털썩 주저앉을지도 모른다. 뒤 무대에서 절친한 친구들에 둘러싸였을 때, 우리의 말과 옷차림은 격식을 차리지 않으며 일반 사람들이 있는 데서는 금기 사항인 몸단장을 마음 놓고 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 뒤 무대의 가장 깊숙한 곳에서는 친밀한 행동이나 완전히 사적인 몸단장의 행동을 한다. 앞 무대로의 재입장은 이러한 모든 격식을 차리지 않는 행위와 금기된 행동을 뒤에 남겨지게 한다. 이제 우리의 행동은 배우기 어렵고 이행하기 까다로울 수 있는 올바름의 명백한 기준인 ‘격식’을 반대해야(→ 따라야) 한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n one of the most famous passages in all philosophy, Plato describes prisoners in a cave, chained to face a wall upon which shadows move to and fro, cast by objects being moved between them and a fire which burns behind them. Having known nothing else, the prisoners (a) mistake the shadows for reality.
One prisoner is freed, and forced to turn to see the objects and the fire, and then — painfully — he moves up into the light beyond the cave. Having seen the light of the sun, he (b) realizes that the shadows are no more than unreal, ever-changing copies, and not reality itself. He then descends again into the cave to explain this to the other prisoners, but they reject his claims as foolish and continue to (c) avoid predicting the patterns and movements of their shadows, which is the criterion by which they judge one another to be successful.
This analogy is generally used to highlight Plato’s theory of knowledge —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things (the shadows) and the corresponding eternal realities. But it is equally an account of the absurdity of political life. Those who concentrate on the passing shadows — trends, focus groups, opinion polls and the media in a modern context — are (d) unable to appreciate the fundamental realities and principles that alone will bestow wisdom.
Hence, those who are to rule the state — the Guardians — need to be trained and equipped to do so in such a way that they do not fall into the temptations of impartiality and self-interest, but constantly use as their (e) reference the sun beyond the cave — his ‘Form of the Good’.
* analogy: 비유
** eternal: 영원한
*** bestow: 주다
3.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What Plato’s Cave Implies for Politics
② How Did Cavemen Solve Political Conflict?
③ Philosophy Gives Direction to Knowledge Seeking
④ Why Did the Politician Fall Victim to the Cavemen’s Fallacy?
⑤ Plato’s Analogy: Scolding the Lightness of Modern Philosophy
4.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모든 철학의 가장 유명한 구절 중 하나에서, 플라톤은 동굴 속 죄수들을 설명하는데, 그들은 벽을 마주 보도록 (사슬로) 묶여 있고, 그 벽 위에 그들과 그들 뒤에서 타오르는 불 사이에서 움직여지고 있는 물체들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가 이리저리 움직인다. 그 밖의 다른 어떤 것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 죄수들은 그 그림자를 실재로 착각한다.
죄수 한 명이 풀려나 몸을 돌려 그 물체들과 불을 보도록 강요받고, 그런 다음, 그는 아주 힘들게 동굴 너머에 있는 빛 속으로 이동해 올라간다. 햇빛을 본 이후에, 그는 그 그림자가 실재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복제품에 지나지 않으며, 실재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 그러고 나서 그는 동굴 속으로 다시 내려와서 다른 죄수들에게 이것을 설명하지만, 그들은 그의 주장을 어리석은 것으로 거부하고 그림자의 형태와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계속 회피하는데(→ 집중하는데), 이것은 그들이 서로를 성공적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이다.
이 비유는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인식론, 즉 개체(그림자)와 그에 상응하는 영원한 실재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그것은 마찬가지로 정치적 생활의 부조리에 관한 설명이기도 하다. 스쳐 가는 그림자들, 말하자면 현대의 상황에서 추세, 표적 집단, 여론 조사, 미디어 등에 집중하는 사람들은 그것만으로도 지혜를 줄 근본적인 실재와 원칙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국가를 통치할 사람들, 즉 ‘수호자들’은 자신이 공정성과 사리사욕의 유혹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동굴 너머의 태양, 즉 그(플라톤)의 ‘선의 형상’을 자신의 준거로 계속 사용하는 방식으로 그렇게 하도록(국가를 통치하도록) 훈련받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By and large, New Year’s resolutions don’t work. At the same time, people regularly fail to apply their ‘will power’ and resort to old habits. Given the relative roles and influence of the unconscious emotional brain and the conscious logical brain, this is not at all surprising. The thinking brain is like a lion tamer and the emotional brain is the lion. Through careful, patient and repeated efforts, the tamer can learn to tame the lion and manage the beast in an effective way. However, ultimately, the lion is always the more powerful animal, representing the thousands of (a) automatic operations we carry out every second outside of conscious awareness. We must always remember that the lion has been around much longer than the tamer and is always capable of taking command of a situation. The tamer must always treat the lion with (b) respect, working in harmony with it in order for things to operate smoothly and safely. The consequences of the tamer and the lion not being in harmony could be disastrous.
We often think of rapport between ourselves and other people, but what about the rapport between your thinking brain and your emotional brain? If the two brains are fighting against each other, the emotional brain will (c) lose every time. This would explain why your attempts to give up smoking, lose weight through dieting, or take more exercise often fail. Your logical brain knows that not smoking, eating healthy food and exercise are good for you. However, your emotional brain (d) governs a set of attitudes, emotions and habits that are not in harmony with this logic.
The good news is that it is possible for the tamer to train and manipulate the lion in certain ways, distracting it from harmful actions and focusing its attention on more positive ones. But never forget, the lion is always much more (e) aware of what is going on within us and around us than the tamer. Your lion will communicate with you via feelings, intuitions, dreams and physical symptoms, and the more you listen to it and understand it, the more likely you are to create a successful tamer and lion relationship.
* tamer: 조련사, 길들이는 사람
** rapport: (친밀한) 관계
5.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Wake Up the Sleeping Lion Within Your Inner Self
② Old Habits Die Hard: New Year’s Resolutions Don’t Work
③ Shift from Using Your Logical Brain to Your Emotional Brain
④ Use Your Thinking Brain to Tame Your Powerful Emotional Brain
⑤ Watch Your Automatic Brain: The Magic of the Unconscious Mind
6.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대체로, 새해 결심은 효과가 없다. 그와 동시에, 사람들은 어김없이 자신의 ‘의지력’을 쏟는 데 실패하고 오래된 습관에 의지한다. 무의식적인 감정적 뇌와 의식적인 논리적 뇌의 상대적 역할과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이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생각하는 뇌는 사자 조련사와 같고 감정적인 뇌는 사자이다. 세심하고 끈기 있으며 반복적인 노력을 통해, 조련사는 사자를 길들이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야수를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사자는 항상 더 힘이 센 동물로 우리가 의식 밖에서 매 순간 수행하는 수천 개의 무의식적인 조작을 의미한다. 우리는 항상 사자가 조련사보다 훨씬 더 오래 존재해 왔고 항상 상황을 지휘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상황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돌아가게 하려면, 조련사는 사자와 조화를 이루며 존중하는 마음으로 항상 사자를 대해야 한다. 조련사와 사자가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경우의 결과는 처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흔히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생각하지만, 여러분의 생각하는 뇌와 감정적인 뇌 사이의 친밀한 관계는 어떠한가? 두뇌가 서로 싸우고 있다면, 감정적인 뇌가 매번 질(→ 이길) 것이다. 이것이 담배를 끊거나, 다이어트를 통해 살을 빼거나, 운동을 더 많이 하려는 시도가 흔히 실패하는 이유를 설명해 줄 것이다. 여러분의 논리적인 뇌는 담배를 피우지 않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는 것이 여러분에게 좋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여러분의 감정적인 뇌는 이 논리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일련의 태도, 감정, 습관을 지배한다.
좋은 소식은 조련사가 사자를 특정한 방식으로 훈련시키고 조종하여 해로운 행동으로부터 그것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더 긍정적인 행동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절대 잊지 말라, 사자는 항상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조련사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여러분의 사자는 감정, 직관, 꿈, 신체 증상을 통해 여러분과 소통할 것이고, 여러분이 더 많이 그것에 귀를 기울여 듣고 이해할수록, 성공적인 조련사와 사자의 관계를 만들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 morality of ordinary life requires us to regard others as autonomous beings and to respect their choices. Immanuel Kant instructed us to “cast a veil of philanthropy over the faults of others ... by silencing our judgments.” This command amounts to requiring us to regard the acts of others as if they were chosen with (a) thoughtful consideration and for good reasons. For the most part, the Kantian attitude of respect commands us to leave others alone and allow them to advance their own conception of the good. Even doctors (b) violate this rule when they are outside of their clinical setting. When they see others smoking cigarettes, they walk by with respectful (c) disregard even though they worry about cancer. They hold their tongues when they observe others sporting multiple tattoos or numerous items of body piercing jewelry, even though they are concerned about hepatitis. They even remain silent as overweight others indulge in rich desserts although they are aware of the dangers of obesity. Nevertheless, in a visit to the doctor’s office, it is hard to imagine that a good doctor would fail to (d) caution a patient about the risks of cancer, hepatitis, or obesity. Physicians are not allowed to presume that their patients are acting autonomously. Instead, they are responsible for attentive assessment of patients’ decisional capacity, and they are sometimes required to take steps to (e) oppose patients’ preferences (e.g., overriding the wishes of the patient who refuses surgery out of fear that her body will be invaded by aliens through the incision).
* philanthropy: 박애
** hepatitis: 간염
*** incision: 절개 (부위)
7.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A Sound Body Forms a Sound Mind
② In the Hospital, No News Is Good News
③ A Balanced Life: The Key to Good Health
④ The Distinctiveness of the Ethics of Medicine
⑤ Patients Need More Autonomy in the Hospital
8.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평범한 생활의 도덕은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을 자율적인 존재로 여기고 그들의 선택을 존중하도록 요구한다. Immanuel Kant는 우리에게 “우리의 판단을 침묵시킴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잘못 위에 박애의 베일을 씌우라”라고 지시했다. 이런 지시는 다른 사람의 행위를 신중한 고려와 타당한 이유로 선택되는 것‘처럼’ 여기도록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대개, 칸트 철학의 존중의 태도는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에게 간섭하지 말고 그들이 선(善)에 대한 자기 자신의 개념을 발전시키도록 허용하라고 명령한다. 의사들조차도 임상 환경 밖에 있을 때 이 규칙을 어긴다(→ 준수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는 것이 보이면, 암에 대해 걱정하긴 하지만, 정중하게 못 본 척하면서 지나간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다수의 문신이나 수많은 품목의 신체 피어싱 장신구를 과시하는 것을 보게 될 때, 간염에 대해 염려하긴 하지만, 입을 다문다. 그들은 과체중인 다른 사람들이 기름진 디저트를 탐닉할 때, 비만의 위험을 알고 있긴 하지만, 심지어 침묵을 유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료를 받으러 가서는, 훌륭한 의사가 암, 간염, 혹은 비만의 위험에 대해 환자에게 주의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상상하는 것이 어렵다. 의사들은 자신들의 환자가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추정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그들은 환자의 의사 결정 능력을 주의 깊게 판단할 책임이 있고, 때로는 (예를 들자면 자기 몸이 절개 부위를 통해 외계인에 의한 침입을 받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수술을 거부하는 환자의 바람을 무시하는 것 같은) 환자의 선호에 반대하는 조치를 취하라는 요구를 받는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특강 영어 18강 인물, 일화, 기담 (0) | 2022.03.25 |
---|---|
2023 수능특강 영어 17강 장문 독해(2) (0) | 2022.03.25 |
2023 수능특강 영어 15강 문단 요약하기 (0) | 2022.03.25 |
2023 수능특강 영어 14강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 (0) | 2022.03.25 |
2023 수능특강 영어 13강 문단 내 글의 순서 파악하기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