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기타/수능특강 영어

2023 수능특강 영어 14강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

by ₯₺﷼₳
반응형

14강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

Gateway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As long as the irrealism of the silent black and white film predominated, one could not take filmic fantasies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Cinema is valuable not for its ability to make visible the hidden outlines of our reality, but for its ability to reveal what reality itself veils — the dimension of fantasy. ( ① ) This is why, to a person, the first great theorists of film decried the introduction of sound and other technical innovations (such as color) that pushed film in the direction of realism. ( ② ) Since cinema was an entirely fantasmatic art, these innovations were completely unnecessary. ( ③ ) And what’s worse, they could do nothing but turn filmmakers and audiences away from the fantasmatic dimension of cinema, potentially transforming film into a mere delivery device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 ④ )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to create just such an illusion, thereby destroying the very essence of film art. ( ⑤ ) As Rudolf Arnheim puts it, “The creative power of the artist can only come into play where reality and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do not coincide.”

* decry: 공공연히 비난하다 ** fantasmatic: 환상의

 

{해석}

영화는 우리 현실의 숨겨진 주요 특성을 보이게 만드는 능력 때문이 아니라 현실 자체가 가리고 있는 것, 즉 환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에 가치가 있다. 이것이 최초의 위대한 영화 이론가들이 영화를 사실주의 쪽으로 밀어붙였던 소리와 (색채와 같은) 그 밖의 다른 기술 혁신의 도입을 이구동성으로 공공연히 비난한 이유이다. 영화는 전적으로 환상의 예술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혁신은 완전히 불필요했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그것들은 영화 제작자와 관객을 영화의 환상적인 차원에서 멀어지게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잠재적으로 영화를 현실의 재현을 위한 단순한 전달 장치로 변형시켰다. 무성 흑백 영화의 비사실주의가 지배하던 동안에는 영화적 환상을 현실의 재현으로 생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소리와 색채는 바로 그러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었으며, 그럼으로써 영화 예술의 본질 자체를 파괴했다. Rudolf Arnheim의 말대로, “예술가의 창의적 힘은 현실과 재현의 매체가 만나지 않는 곳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Yet humans are affiliative animals — biologically not meant to spend their lives too far from the pack.

 

We take it for granted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and grow away, that our grandchildren will live in different cities from ourselves, and that we will change jobs at least a few or perhaps many times in our lives. ( ① ) We also take it for granted that with such job changes, we will usually also change the place we live and the friends we have. ( ② ) With all this mobility, we lose our extended families. ( ③ ) And then we lose those friends we had found to replace the families left behind. ( ④ ) We long for affiliation, we seek it — in fantasy, in art, and in all the devices we have invented to overcome the social isolation that our mobile lifestyle generates. ( ⑤ ) So now, fueled by Internet, telephone, and e-mail communications, we have adapted to that lifestyle and have begun to take for granted commuting spouses, and “LDRs” — long-distance romances.

* affiliative: 관계를 지향하는

 

{해석}

우리는 우리의 아이들이 자라면서 멀어지게 될 것이고, 우리의 손자들이 우리와 다른 도시에서 살게 될 것이며, 우리가 살면서 적어도 몇 번 혹은 어쩌면 아주 여러 번 직업을 바꾸게 되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우리는 또한 그렇게 직업을 바꾸면서 우리가 사는 장소와 우리가 가진 친구들도 보통은 바꾸리라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이 모든 이동성으로 인해, 우리는 확대 가족을 잃는다. 그러고는, 뒤에 남겨 두고 떠나온 가족을 대체하기 위해 우리가 찾았던 그 친구들을 잃는다. 그러나 인간은 관계를 지향하는 동물로서, 생물학적으로 무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자신의 삶을 보내도록 되어 있지 않다. 공상의 세계에서, 예술에서, 그리고 우리의 이동하는 생활 방식이 일으키는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가 발명한 모든 장치에서 우리는 관계를 열망하고, 그것을 추구한다. 그래서 이제 인터넷, 전화, 이메일 통신에 힘입어, 우리는 그러한 생활 방식에 적응했고 주말부부와 LDRs, 곧 장거리 연애(long-distance romances)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Your current life situation can also cause anxiety.

 

The root cause of anxiety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In truth, no one knows precisely what causes anxiety. ( ① ) However, several different factors are involved that ultimately lead to a state of anxiety. ( ② ) One of these includes past experiences or experiences from a young age. ( ③ ) Painful experiences as a child, such as abuse, neglect, the loss of a parent, or bullying, can lead to anxiety in later life. ( ④ ) If you are out of work, have money issues, or have lost someone close to you, your anxiety levels may rise. ( ⑤ ) Physical or mental health problems can also lead to anxiety — for example, when you are living with a serious illness or tackling a psychological issue such as depression.

 

{해석}

불안의 근본 원인은 사람마다 다르다. 사실, 정확히 무엇이 불안을 야기하는지 누구도 알지 못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불안 상태의 원인이 되는 몇 가지 다른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그중 하나는 과거의 경험이나 어린 시기의 경험을 포함한다. 학대, 방임, 부모의 사망, 약자 괴롭히기와 같은 어린 시절의 고통스러운 경험은 나이가 들어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삶의 상황 또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실직 상태이거나, 금전적 문제가 있거나, 혹은 가까운 누군가를 잃었을 때, 불안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건강 문제 또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데, 예컨대 중병을 안고 살고 있거나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을 때 그러하다.

 

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But this did not satisfy most naturalists.

 

The nature of life, the property of being living, has always been a puzzle for philosophers. Descartes tried to solve it by simply ignoring it. ( ① ) An organism is really nothing but a machine, he said. ( ② ) And other philosophers, particularly those with a background in mathematics, logic, physics, and chemistry, tended to follow him and operated as if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living and inanimate matter. ( ③ ) They were convinced that in a living organism certain forces are active that do not exist in inanimate nature. ( ④ ) They concluded that, just as the motion of planets and stars is controlled by an occult, invisible force called gravitation by Newton, the movements and other manifestations of life in organisms are controlled by an invisible force, vis vitalis. ( ⑤ ) Those who believed in such a force were called vitalists.

* inanimate: 무생물의

** occult: 초자연적인

*** vis vitalis (= vital force): 활력

 

{해석}

생명의 본질, 즉 살아 있다는 것의 속성은 항상 철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였다. Descartes는 그저 그것을 무시함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고자 했다. 생물체란 실은 그저 기계일 뿐이라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다른 철학자들, 특히 수학, 논리학, 물리학, 화학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철학자들은 그를 따르는 경향이 있었고, 마치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처럼 행동했다. 하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자연주의자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그들은 살아 있는 생물체에는 무생물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신했다. 그들은 행성과 별의 움직임 이 Newton이 중력이라고 부른 초자연적이고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통제되는 것처럼, 생물체의 움직임과 다른 생명의 징후들은 보이지 않는 힘, ‘활력’에 의해 통제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런 힘을 믿는 사람들은 활력론자라고 불렸다.

 

4.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We believe, nevertheless, that we have some kind of indirect knowledge of such facts.

 

We all believe that we have knowledge of facts extending far beyond those we directly perceive. ( ① ) The scope of our senses is severely limited in space and time; our immediate perceptual knowledge does not reach to events that happened before we were born, to events that are happening now in certain other places, or to any future events. ( ② ) We know that a glacier once covered a large part of North America, that the sun continues to exist at night, and that the tides will rise and fall tomorrow. ( ③ ) Science and common sense have at least this one thing in common: Each includes knowledge of matters of fact that are not open to our direct inspection. ( ④ ) Indeed, science purports to establish general laws or theories that apply to all parts of space and time without restriction. ( ⑤ ) A “science” that consisted of no more than a mere summary of the results of direct observation would not deserve the name.

* purport to do: ~한다고 자처하다

 

{해석} 우리는 모두 우리가 직접 인지하는 것을 훨씬 넘어 확장되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 감각의 범위는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제한되어 있어 우리의 직접적인 지각에 의한 지식은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발생한 사건이나 어떤 다른 공간에서 지금 발생하고 있는 사건, (그) 어떤 미래의 사건에도 이르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런 사실들에 대해 어떤 종류의 간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빙하가 한때 북미의 광범위한 부분을 덮고 있었다는 것, 태양이 밤에도 계속 존재한다는 것, 조류가 내일 밀려왔다 밀려갈 것을 알고 있다. 과학과 상식은 적어도 다음 한 가지는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즉, 각각은 우리가 직접 검증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사실, 과학은 시공간의 모든 부분에 제한 없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법칙이나 이론을 확립한다고 자처한다. 직접 관찰한 결과를 단지 요약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이루어진 ‘과학’은 이름에 걸맞지 않을 것이다.

 

5.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Nested in an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web of life, humans are similarly cells in the body of a living Earth, and thus need to be in service to lif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eople, communities, and the biosphere are interlinked. ( ① ) Our bodies exemplify the patterns of healthy living systems; for example, our cells self-organize in many networks to keep us alive and thriving. ( ② ) Instead, our species has organized and patterned itself in human communities that are at war with the web of life! ( ③ ) If this condition existed in our own bodies, it would be akin to an autoimmune disorder — cells at war with the host organism. ( ④ ) Infinite economic growth on a finite living planet is akin to the logic of cancer in a body: cells growing out of control until they kill the host. ( ⑤ ) From the cells in our bodies to the biosphere, aligning with a living Earth worldview is fundamental to our long-term survival as a species.

* be akin to: ~과 유사하다

** host: 숙주

*** align with: ~에 맞추어 조정하다

 

{해석} 사람, 공동체, 그리고 생물권의 건강과 안녕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의 몸은 건강한 생명 시스템 패턴의 좋은 예가 되는데, 예컨대 세포는 우리가 계속 생존하여 잘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연결망 속에서 자기 조직화를 한다. 서로 연결되어 상호 의존하는 생물망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인간은 마찬가지로 살아 있는 지구라는 몸 안에 있는 세포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구의) 생명체에 대해 봉사해야 한다. 그러는 대신 우리 종은 생물망과 전쟁을 하는 인간 군집 속에서 자신을 조직화하고 패턴화해 왔다! 만약 이 상태가 우리 자신의 몸속에 존재한다면, 그것은 세포가 숙주와 전쟁 중인 자가 면역 질환과 유사할 것이다. 유한한 살아 있는 행성에서의 무한한 경제 성장은 숙주를 죽일 때까지 통제할 수 없이 자라나는 세포인 우리 몸속 암의 논리와 유사하다. 우리 몸속 세포에서 생물권까지, 살아 있는 지구 세계관에 맞추어 조정하는 것은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의 장기적 생존에 필수적이다.

 

6.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But this is not the same as to deny the existence of truth or truthfulness.

 

Modern secular persons sometimes smile cynically at any mention of truthfulness because modern society makes truth and truthfulness difficult accomplishments. But still the term “truth” has meaning. ( ① ) And truthfulness means the habit of speaking what one understands to be true. ( ② ) Sometimes, to know what is true is difficult, and sometimes it is difficult even to speak what one knows to be true. ( ③ ) Even the cynic knows when he is not being truthful: when he is deliberately deceiving someone or hiding the truth or twisting it for convenience. ( ④ ) The virtue of truthfulness is a habit of telling the truth even when it is not convenient or does not serve a personal convenience. ( ⑤ ) This virtue rests upon and develops in a person’s self the instinctive sense that it is right to be truthful and that truthfulness has to do with the kind of person we come to be.

* secular: 세속적인

 

{해석} 현대의 세속적인 사람들은 때로 진실성에 관한 그 어떤 언급에도 냉소적인 웃음을 짓는데, 이는 현대 사회가 진실과 진실성을 성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진실’이라는 말은 의미가 있다. 그리고 진실성은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 습관을 의미한다. 때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알기 어렵고, 때로는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을 말하기조차도 어렵다. 그러나 이것이 진실이나 진실성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냉소적인 사람조차도 자신이 진실하게 행동하고 있지 않은 때, 즉 자신이 일부러 누군가를 속이거나 진실을 숨기거나 편의상 그것을 왜곡하고 있는 때를 안다. 진실성의 미덕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개인적인 편의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진실을 말하는 습관이다. 이런 미덕은 진실한 것이 옳고 진실성이란 우리가 되어 가는 사람의 부류와 관련이 있다는 본능적인 의식에 달려 있으며, 사람의 자아 속에 그런 의식을 만들어 낸다.

 

7.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Indeed, other research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bilingual children’s two languages proceeds relatively independently.

 

To some degree, bilingual children might be able to transfer knowledge across their languages to overcome the reduced input in each language. ( ① ) For example, one study found that bilingual children who knew more words in one of their languages also knew more words in their other language. ( ② ) On the other hand, children might also experience language interference. ( ③ ) For example, in a recent study investigating whether a bilingual 16-month-old could learn rhyming words, children learning dissimilar languages performed worse than children learning more similar languages. ( ④ ) However, children’s real-world vocabulary size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how similar their languages were, suggesting that language similarity might not affect the overall rate of language acquisition. ( ⑤ ) For example, in a study of Spanish-English learning toddlers, vocabulary size in one language predicted grammatical development in that same language, but not in the other language.

* toddler: 유아

 

{해석} 어느 정도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은 각각의 언어에서 줄어든 투입량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이 쓰는 언어들을 교차하여 지식을 이동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자신의 언어 중 하나에서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이 자신의 다른 언어에서도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면에, 아동들은 언어 간섭을 경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후 16개월이 된 이중 언어 사용자가 운을 맞추는 낱말을 배울 수 있는지를 조사한 한 최근 연구에서, 비슷하지 않은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이 더 비슷한 언어들을 배우는 아동들보다 더 잘하지 못했다. 그러나, 아동들의 실생활 어휘량은 자신의 언어들이 얼마나 비슷한지에 따라 다르지 않았는데, 이는 언어의 유사성이 언어 습득의 전반적인 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로, 다른 연구는 이중 언어 사용 아동들의 두 언어 발달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와 영어를 배우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한 언어의 어휘량은 같은 언어의 문법 발달을 예측했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그러지 않았다.

 

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As biologists looked closer, however, they found more and more animals that eat corals or their products.

 

The production and efficient use of nutrients by coral reef communities result in high primary productivity. This is reflected in the richness of the community. ( ① ) Scientists aren’t sure, however, just how much primary production there is on coral reefs, or which particular organisms are the most important producers. ( ② ) There is no doubt that zooxanthellae are very important, but because they live inside corals, it is hard to measure exactly how much organic matter they produce. ( ③ ) For a time it was thought that very few animals eat coral, since there is so little live tissue on a coral colony. ( ④ ) It was therefore believed that, even though zooxanthellae produce a lot of organic matter, most of it is consumed by the coral and not much is passed on to the rest of the community. ( ⑤ ) Primary production by coral zooxanthellae therefore can be important not only to corals but also to the community at large.

* coral reef: 산호초 ** zooxanthella: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 산호 등의 체내에 공생하는 와편모충(渦鞭毛蟲)) ( pl. zooxanthellae)

 

{해석} 산호초 군집에 의한 영양소 생산과 효율적인 사용은 결과적으로 일차 생산력을 높이게 된다. 이는 군집의 풍요도에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산호초에 정말 얼마나 많은 일차 생산이 있는지, 또는 어떤 특정 생물체가 가장 중요한 생산자인지 확신하지 못한다. 황록공생조류(黃綠共生藻類)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것은 산호 안에 살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얼마나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는지 측정하기는 어렵다. 한동안, 산호 군락에는 살아 있는 조직이 아주 거의 없기 때문에 극소수의 동물들만이 산호를 먹는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황록공생조류가 많은 유기물을 생산하더라도, 그중 대부분은 산호에 의해 소비되고 군집의 나머지 부분에 전달되는 것은 많지 않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생물학자들이 더 면밀하게 관찰함에 따라 산호나 산호의 생산물을 먹는 동물들을 더욱더 많이 발견했다. 따라서 산호 황록공생조류에 의한 일차 생산은 산호뿐만 아니라 군집 전체에도 중요할 수 있다.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4_001.mp3
1.15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5_001.mp3
1.04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6_002.mp3
0.86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7_003.mp3
0.98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8_004.mp3
1.03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09_005.mp3
1.04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10_006.mp3
1.05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11_007.mp3
1.17MB
주어진 문장의 적합한 위치 찾기_22005-0112_008.mp3
1.13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