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강 정치, 경제, 사회, 법
Gateway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Kinship ties continue to be important today. In modern societ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people frequently have family get-togethers, they telephone their relatives regularly, and they provide their kin with a wide variety of services. ① Eugene Litwak has referred to this pattern of behaviour as the ‘modified extended family’. ② It is an extended family structure because multigenerational ties are maintained, but it is modified because it does not usually rest on co-residence between the generations and most extended families do not act as corporate groups. ③ Although modified extended family members often live close by, the modified extended family does not requir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ies are maintained even when kin are separated by considerable distances. ④ The oldest member of the family makes the decisions on important issues, no matter how far away family members live from each other. ⑤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extended family where kin always live in close proximity, the members of modified extended families may freely move away from kin to seek opportunities for occupational advancement.
* kin: 친족 ** proximity: 근접
{해석}
친족 유대 관계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하다. 미국 같은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자주 가족 모임을 하고, 자신의 친척에게 자주 전화하며, 자신의 친족에게 매우 다양한 도움을 제공한다. Eugene Litwak는 이런 행동 양식을 ‘수정 확대 가족’이라고 칭했다. 그것은 여러 세대의 유대 관계가 유지되기 때문에 확대 가족 구조이지만, 대개 세대 간의 공동 거주에 기초하지 않고 대부분의 확대 가족이 공동 집단으로 행동하지 않기 때문에 수정된 형태이다. 비록 수정 확대 가족의 구성원들이 가까이 사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수정 확대 가족은 지리적 근접을 요구하지 않고, 친족이 상당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유대 관계는 유지된다.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아무리 멀리 떨어져 산다고 해도, 가족의 최고 연장자가 중요한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친족이 항상 매우 근접해서 사는 전통적인 확대 가족과는 대조적으로, 수정 확대 가족의 구성원들은 직업의 승진 기회를 얻으려고 자유롭게 친족에게서 떠날 수도 있다.
1.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Politics is the process of making collective decisions in a community, society, or group through the application of influence and power. ① People commonly use the term “politics” in a negative sense, as in “There’s only one explanation for her being appointed to be the new ambassador — politics”; or, simply, “It’s back to politics as usual.” ② The idea behind this casual use of the term implies that a decision is “political” if influence or power is involved in making it. ③ This power is used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and opportunity or to reduce economic inequality. ④ The negative connotation that often surrounds politics derives from the belief that decisions should be made objectively on the basis of merit, quality, achievement, or some other legitimate standard. ⑤ When we find that influence and power have had an effect on an important decision in government or in large organizations, most people develop a very cynical attitude, accepting the idea that politics is synonymous with cheating or underhanded dealing.
* connotation: 함축 의미, 암시
** synonymous: 같은 뜻의, 동의어의
*** underhanded: 공정하지 않은
{해석}
정치는 공동체, 사회, 또는 집단에서 세력과 권력을 이용해서 집단적인 결정을 내리는 과정이다. “그녀가 새 대사로 임명된 데는 단 하나의 이유만 있는데, 정치이다.”라거나 간단히 “늘 그렇듯이 그것은 정치로 돌아간다.”에서처럼 사람들은 흔히 ‘정치’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그 용어를 이렇게 대충 사용하는 이면의 생각은 세력이나 권력이 결정을 내리는 데 관련이 있다면 그 결정은 ‘정치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권력은 경제적인 성장과 기회를 자극하거나 경제적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흔히 정치를 둘러싼 부정적 함축 의미는 결정을 가치, 특성, 업적 혹은 다른 정당한 기준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내려야 한다는 믿음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정부나 큰 조직에서의 중요한 결정에 세력과 권력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발견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치가 부정행위나 공정하지 않은 거래와 같은 뜻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이면서, 매우 냉소적인 태도를 갖기 시작한다.
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understand why some students go to college and others do not, sociologists would say that we cannot rely on individual choice or will (agency) alone — structures, whether subtly or quite obviously, exercise an influence on social behavior and outcomes. At the same time, we should not see structures as telling the whole story of social behavior because history shows the power of human agency in making change, even in the face of obstacles. Agency itself can transform structures. For example, think about the ways women’s historical activism has helped to transform gender norms for women today. Sociologists weigh both agency and structure and study how the two intersect and interact. For the most part, sociologis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s reciprocal — that is, it goes in both directions, as structure affects agency and agency, in turn, can change the dimensions of a structure.
* obstacle: 장애(물), 방해(물)
** reciprocal: 상호의, 호혜적인
① 사회학은 사회 현실과 동떨어져 존재하는 학문이 아니다.
② 인간은 사회적 조건이 가하는 제약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③ 사회 구조는 사회 구성원 간의 원활한 상호 작용의 토대가 된다.
④ 사회학은 사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⑤ 사회적 행동은 행위 주체와 사회 구조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해석}
왜 어떤 학생들은 대학에 가고 다른 학생들은 그러지 않는지 이해하기 위해, 사회학자들은 우리가 개인의 선택이나 의지(행위 주체)에만 의존할 수 없다고, 즉 미묘하게든지 매우 분명하게든지, 구조가 사회적 행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우리는 구조가 사회적 행동에 대한 이야기 전체를 말한다고 여겨서는 안 되는데, 역사는 심지어 장애물에 직면해서도 변화를 만들 때의 인간 행위 주체의 힘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행위 주체 그 자체가 구조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에 나타난 여성의 행동주의가 오늘날 여성에 대한 성 규범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된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라. 사회학자들은 행위 주체와 구조를 둘 다 따져 보고, 그 둘이 어떻게 교차하고 상호 작용을 하는지 연구한다. 대개, 사회학자들은 그 관계가 ‘상호적’이라고, 즉 구조가 행위 주체에 영향을 미치고, 행위 주체는 결국 구조의 특성을 바꿀 수 있으므로 그것이 양방향으로 작동한다고 이해한다.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In the economic system, choice rests largely with the individual. His preferences go to determine what is to be produced and what is not. Every penny spent on A is a vote in favour of the production of A; every refusal to buy B is a vote against the production of B. The ① free choice of individual consumers between the goods competing on the market helps to determine what industries can carry on at a profit. The industries that cannot show a profit are not carried on at all. Those that show ② excessive profits attract competition and expand until people’s wants are more adequately met. That is, if competition is possible and effective. But if some commodity is monopolised, consumers may be powerless to get what they want (and will pay for) in the proper quantity. They show their ③ readiness to cast votes for more of the commodity by offering high prices for it. But the election is ④ acknowledged . No one is willing to stand against the monopolist. So he is able to preserve an excessive scarcity by keeping people out of his line of business. He makes things ⑤ scarcer than people want them to be and earns high profits by doing so.
* monopolise: 독점화하다
{해석}
경제 체제에서 선택은 주로 개인에게 달려 있다. 그의 선호는 무엇이 생산될 것이고 무엇이 그러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A에 쓰이는 모든 돈은 A의 생산에 찬성하는 투표이고, B를 사지 않겠다는 모든 거부는 B의 생산에 반대하는 투표이다. 시장에서 경쟁하는 상품들 사이에서 개별 소비자가 하는 자유로운 선택은 어떤 업종이 수익을 내며 유지될 수 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수익을 보여 줄 수 없는 업종은 결코 계속되지 못한다. 과도한 수익을 보여 주는 업종은 경쟁을 끌어들이고 사람들의 욕구가 더 충분히 충족될 때까지 성장한다. 다시 말해서, 경쟁이 가능하고 효과적이라면 그렇다. 그러나 어떤 상품이 독점화된다면,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그래서 가격을 지불하려고 하는) 것을 적당한 양으로 얻는 데 무력할 수 있다. 그들은 그 상품에 대해 높은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기꺼이 그 상품의 더 많은 양에 찬성표를 던지려는 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그 선거는 인정(→ 무시)된다. 아무도 독점자에 기꺼이 대항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는 사람들을 자신의 사업 분야에 진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과도한 부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보다 물품을 더 부족해지게 만들고, 그렇게 함으로써 높은 수익을 얻는다.
4.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goal of legal socialization is to instill in people a felt obligation or responsibility to follow laws and accept legal authority. The goal of moral socialization is to instill in people a duty to follow societal standards of proper behavior independent of rules and codes.
(A) Criminalizing a behavior does not make it immoral, nor is all immoral behavior necessarily criminalized. Most people can think of an instance where they believe a behavior is immoral, but would not support criminalizing it or using the full force of the law to stop people from doing it.
(B) Given that in normal everyday life those behaviors that society considers immoral are frequently prohibited by law, the two usually work toward the same goal. However, that is not always the case.
(C) At the same time, even if people do abstractly support legal regulation of immoral behavior, they vary in how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want the legal system to intervene. Such views are strongly shaped by the way in which people underst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law within society.
* instill: (사상·감정 따위를) 심어 주다, 주입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해석}
법 사회화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법을 따르고 법적 권위를 수용할 절실한 의무감이나 책임감을 심어 주는 것이다. 도덕 사회화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규칙과 규범과는 관계없이 적절한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따를 의무감을 심어 주는 것이다. (B) 보통의 일상생활에서 사회가 비도덕적이라고 여기는 그런 행동들이 빈번하게 법에 의해 금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둘은 보통 같은 목표를 향해 작용한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A) 어떤 행동을 법으로 금지하는 것은 그것을 비도덕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며, 모든 비도덕적인 행동이 반드시 법으로 금지되는 것도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행동이 비도덕적이라고 믿지만 사람들이 그것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것을 법으로 금지하거나 법의 온전한 힘을 사용하는 것을 자신들이 지지하지 않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C) 동시에 사람들은 비록 자신들이 비도덕적 행동의 법적 규제를 관념적으로 정말 지지한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나 법체계가 개입하기를 원하는지에 있어서는 서로 다르다. 그러한 관점들은 사람들이 사회 안에서 법의 위치와 기능을 이해하는 방식에 의해 강하게 형성된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특강 영어 Test 1 (0) | 2022.03.28 |
---|---|
2023 수능특강 영어 29강 의학, 건강, 영양, 식품 (0) | 2022.03.28 |
2023 수능특강 영어 27강 심리, 대인관계 (0) | 2022.03.28 |
2023 수능특강 영어 26강 컴퓨터, 인터넷, 정보, 미디어, 교통 (0) | 2022.03.27 |
2023 수능특강 영어 25강 언어, 문학, 문화 (0) | 2022.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