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기타/수능특강 영어

2023 수능특강 영어 27강 심리, 대인관계

by ₯₺﷼₳
반응형

27강 심리, 대인관계

Gateway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Even as mundane a behavior as watching TV may be a way for some people to _______________. To test this idea, Sophia Moskalenko and Steven Heine gave participants false feedback about their test performance, and then seated each one in front of a TV set to watch a video as the next part of the study. When the video came on, showing nature scenes with a musical soundtrack, the experimenter exclaimed that this was the wrong video and went supposedly to get the correct one, leaving the participant alone as the video played. The participants who had received failure feedback watched the video much longer than those who thought they had succeeded.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distraction through television viewing can effectively relieve the discomfort associated with painful failures or mismatches between the self and self-guides. In contrast, successful participants had little wish to be distracted from their self-related thoughts!

* mundane: 보통의

① ignore uncomfortable comments from their close peers

② escape painful self-awareness through distraction

③ receive constructive feedback from the media

④ refocus their divided attention to a given task

⑤ engage themselves in intense self-reflection

 

{해석}

TV를 보는 것처럼 보통의 행동일지라도 그 행동은 어떤 사람들이 주의를 딴 데로 돌리는 것을 통해 고통스러운 자각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생각을 검증하기 위해, Sophia Moskalenko와 Steven Heine는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시험 성적에 관한 거짓 피드백을 주었고, 그런 다음 연구의 다음 부분으로 각각 TV 앞에 앉아 비디오를 시청하게 했다. 비디오가 시작되어 음악 사운드트랙과 함께 자연의 장면을 보여 주자, 실험자는 이 비디오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고 큰 소리로 말하고, 아마도 제대로 된 것을 가지러 가면서 그 비디오가 재생될 때 참가자를 홀로 남겨 두었다. (시험 성적에 관하여) 실패라는 피드백을 받았던 참가자들은 자신이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참가자들보다 훨씬 더 오래 비디오를 시청했다. 그 연구자들은 텔레비전 시청을 통해 주의를 딴 데로 돌리는 것이 고통스러운 실패나 자신과 자기 안내 지침 사이의 불일치와 관련된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성공한 참가자들은 자기 자신과 관련된 생각에서 주의가 딴 데로 돌려지기를 거의 바라지 않았다!

 

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Thoughts are not all that doubt is capable of provoking. Doubt ① causes you to focus on physical evidence that reinforces your skepticism.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what you think is a clever idea for an invention. As you think about the invention, your idea grows. As your idea grows, doubt might ② counteract it. You might feel skeptical. If at this point you do not shrug off the ③ negative communication and take action on your goal, then your skepticism will increase and you will reject the idea. As you become more cynical, you will bring into focus evidence that reinforces the doubtful message. This process feeds the Bad wolf. You might actually see a similar invention on the market that would ④ convince you that you are wasting your time (somebody already created my idea). You might also read an article in a magazine that indicates it is very difficult to market a new idea. Soon afterward, you release the notion of an invention. Doubt has ⑤ lost the tug-of-war.

* skepticism: 회의감[론]

** shrug off: (어깨를 들썩이며) 무시하다

*** tug-of-war: 줄다리기

 

{해석}

의심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 생각뿐인 것은 아니다. 의심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회의감을 강화하는 물리적인 증거에 집중하게 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 생각에 어떤 발명품에 대한 기발한 아이디어가 있다고 가정하자. 그 발명품에 대해 생각함에 따라, 여러분의 아이디어는 자란다. 여러분의 아이디어가 자람에 따라, 의심이 그것을 상쇄할 수도 있다. 여러분은 회의감이 들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그 부정적인 전언을 무시하고 목표에 대해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면, 회의감은 증가할 것이고 여러분은 그 아이디어를 거부할 것이다. 더 냉소적이 될수록, 여러분은 그 의심스러운 메시지를 강화하는 증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과정이 ‘나쁜’ 늑대에게 먹을 것을 준다. 여러분은 (‘누군가 이미 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서’) 자신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킬, 시장에 나와 있는 유사 발명품을 실제로 볼 수도 있다. 여러분은 또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장에 내놓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내비치는 기사를 잡지에서 읽을지도 모른다. 그 후에 곧 여러분은 발명품에 대한 생각을 놓아 버린다. 줄다리기에서 의심이 졌다(→ 이겼다).

 

2.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All athletes can recall winning a big game or beating a tough opponent. Athletes also inevitably experience setbacks and failures. Both successful and failing experiences offer feedback that can either help or hurt athletes’ confidence. Optimistic and pessimistic athletes differ greatly in the kinds of feedback they more readily accept. Athletes who have an optimistic mind-set are attuned to confidence-building feedback and are able to minimize negative feedback that might hurt their confidence. Optimists recognize and accept the positive feedback as confirmation of their ability and their belief in that ability. In response to failure, optimistic athletes filter the feedback in a way that protects their confidence. Although they accept negative feedback associated with failure, they turn the information into lessons they can use to achieve future success. This way of accepting apparently negative feedback actually increases their confidence because, with this new knowledge, they have a better chance of succeeding in the future.

* setback: 좌절

** pessimistic: 비관적인

*** attuned: 적절히 대응하는

① reasons athletes focus on their failures

② the role of mental imagery in performance

③ ways optimistic athletes deal with feedback

④ the necessity of training with different intensity

⑤ the importance of giving challenging feedback to athletes

 

{해석}

모든 운동선수는 큰 경기에서 이겼거나 힘든 상대방을 물리쳤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운동선수는 필연적으로 좌절과 실패도 겪는다. 성공과 실패의 경험은 둘 다 운동선수의 자신감을 돕거나 해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낙관적인 운동선수와 비관적인 운동선수는 그들이 더 쉽게 받아들이는 피드백의 종류가 크게 다르다. 낙관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운동선수는 자신감을 기르는 피드백에 적절히 대응하여 자신감을 해칠 수 있는 부정적인 피드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낙관적인 운동선수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그들의 능력과 그 능력에 대한 믿음을 확인해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인다. 실패에 대한 반응으로, 낙관적인 운동선수는 자신의 자신감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그 피드백을 거른다. 비록 실패와 관련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아들이지만, 그들은 그 정보를 미래의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교훈으로 바꾼다. 부정적으로 보이는 피드백을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실제로 그들의 자신감을 증가시키는데, 왜냐하면 이 새로운 지식으로 그들은 미래에 성공할 더 큰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When we let go of thoughts, wishes, and desires, we are trusting that whatever the outcome, it is in our best interest.

 

The law of detachment is an invitation to let go of our desires, wishes, and dreams. It’s not that we don’t want the desired outcome, but detachment allows the desire to stand on its own two feet. This law serves as a reminder that we are cocreators in the universe of our lives, but not codependent on it. ( ① ) Detachment means to let go of the emotions that align with our desires — fear and anger, if our desires go unfulfilled. ( ② ) The law of detachment is one of the hardest laws to honor because we often place our security in those things we keep near us. ( ③ ) Implied in the law of detachment is the concept of trust. ( ④ ) So if we apply for a job (intention) and we don’t get it, we must realize that at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this was in our best interest. ( ⑤ ) Those things in our best interest will come back to us as intended.

* align with: ~과 제휴하다

 

{해석}

초탈의 법칙은 우리의 욕망, 소망, 꿈을 놓아주라는 제안이다. 그것은 희망하는 결과를 우리가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초탈에 의해 욕망이 자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법칙은 우리가 우리 삶이라는 우주 속에서 공동 창조자이지 그것에 종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초탈이란 우리의 욕망이 충족되지 않은 채로 있으면, 우리의 욕망과 제휴한 감정들, 즉 두려움과 분노를 내려놓는 것을 의미한다. 초탈의 법칙은 실행하기 가장 어려운 법칙 중 하나인데, 그 이유는 우리가 많은 경우 가까이에 가지고 있는 것들에서 안도감을 갖기 때문이다. 초탈의 법칙에 내포되어 있는 것은 바로 신뢰라는 개념이다. 생각, 소망, 욕망을 놓아줄 때, 우리는 결과가 어떠하든 그것이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만약 어떤 일자리에 지원해서(의도) 그것을 얻지 못한다면, 더 높은 의식 수준에서 이것은 우리에게 가장 좋았던 것임을 깨달아야만 한다.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은 의도한 대로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법이다.

 

4.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mechanisms by which occupational stress is associated with sleep disturbance are not exactly known.

 

(A) In those situations people cannot ban the thoughts about these problems from their mind, a situation which in the clinical literature is called ‘ruminating’. These thoughts are intrinsically generated and unavoidable; i.e., people cannot stop them.

(B) An explanation could be that some people may have difficulties ‘switching off’ from work-related issues and therefore still have all kinds of thoughts about work at bedtime. This may be particularly true when people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or are having problems and conflicts at work (which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stressful conditions).

(C) Ruminating might be a strategy whereby people are trying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continuously thinking of the problem might be seen as an attempt to simulate all kinds of alternative solutions. However, it is a strategy that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sleep and recovery.

* ruminate: 반추하다, 깊이 생각하다

** intrinsically: 내재적으로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해석}

직업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수면 장애와 관련되는 기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B) 어떤 사람들은 일과 관련된 문제들로부터 ‘신경을 끄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따라서 취침 시간에도 여전히 일에 대한 온갖 종류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한 가지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직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문제와 갈등을 겪고 있을 때(이는 보통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과 관련이 있다) 특히 그럴지도 모른다. (A) 그런 상황에서 사람들은 이 문제들에 대한 생각이 마음에 들어오는 것을 금할 수 없는데, 이는 임상과 관련된 문헌에서 ‘반추’라고 불리는 상황이다. 이러한 생각은 내재적으로 생겨나고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사람들은 그것을 멈출 수 없다. (C) 반추는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전략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은 온갖 종류의 대안적 해결책에 대해 모의실험을 해 보려는 시도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수면과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략이다.

 

심리, 대인 관계_22005-0188_001.mp3
1.01MB
심리, 대인 관계_22005-0189_001.mp3
1.05MB
심리, 대인 관계_22005-0190_002.mp3
1.10MB
심리, 대인 관계_22005-0191_003.mp3
1.02MB
심리, 대인 관계_22005-0192_004.mp3
0.98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