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강 요약문 완성
Let's Check It Out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Many understandably stay away from writing. Critical of their ability to devote words to page, they are writing avoidant. Can’t spell, can’t construct a sentence, no ideas worth writing are among their reasons. Scarred by the red pen of school which taught a type of writing that excluded somatic awareness, students were often guided to fit their personal expression into book reports and essays, ready-made structures that neglected individual and unique verbal paths. Many schools omitted expressive creative writing as unnecessary, except as an elective at best. With writing commonly taught to conform to objective standards, it neglected its power to foster growth, empathy, creative expression, healing, imagination, and integration. The unfortunate result from relying on a singular approach to writing is that many of us too often assess our skills as inferior. Our enthusiasm never developed. Why write? Why pursue a difficult activity that reaps meaningless rewards? Why not find a more worthwhile and satisfying pursuit like hiking or playing soccer?
✽somatic: 몸의, 육체의
✽✽elective: 선택 과목
↓
In teaching writing, many schools stick to an approach that disregards (A) , which often leads students to (B) writing later in life.
(A) (B)
① individuality …… avoid
② objectivity …… enjoy
③ accuracy ……… avoid
④ accuracy ……… improve
⑤ individuality …… enjoy
{해석}
당연히 많은 이들이 글쓰기를 가까이하지 않는다. 그들은 말을 지면에 옮기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비판적이므로, 글쓰기에 대해 회피적이다. 철자를 모르고, 문장을 만들어 내지 못하며, 글로 적을 만한 아이디어가 없다는 것이 그들의 이유에 들어간다. 몸의 인식(자기 인식)을 배제한 글쓰기 유형을 가르치는 수업의 빨간 펜에 상처를 입은 학생들은 개인적이고 특유한 말의 경로를 무시하는 이미 만들어진 구조인 독후감이나 수필에 그들의 개인적인 표현을 맞추도록 안내받는 경우가 흔했다. 많은 학교가 기껏해야 선택 과목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현력이 풍부한 창의적인 글쓰기를 불필요한 것으로 빼 버렸다. 흔히 글쓰기를 객관적인 기준에 따르도록 가르치다 보니, 글쓰기는 성장, 공감, 창조적 표현, 치유, 상상력, 통합을 촉진하는 그것의 힘을 경시했다. 글쓰기에 대한 단 하나의 접근법에 의존한 불행한 결과는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열등하다고 평가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우리의 열정은 결코 발달하지 못했다. 왜 쓰겠는가? 왜 무의미한 보상을 받는 어려운 활동을 추구하겠는가? 왜 하이킹이나 축구처럼 더 가치 있고 만족스러운 일을 찾지 않겠는가?
→ 글쓰기를 가르칠 때 많은 학교가 개성을 무시하는 방식을 고수하는데, 이것은 자주 학생들이 이후 생에서 글쓰기를 피하게 만든다.
Exercises
1.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s to learning how to evade a predator, there is one interesting experiment on guppies that is worth reporting. In the laboratory of Robin Liley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ayne Goodey reared guppies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one group was in contact with adult guppies that often chased them, whereas the other group could see or smell adults but could not be chased by them. Later in life, when put in the presence of predatory fish, the first group — experienced in being chased, if only by the same species — escaped from the predatory fish more often than did the others. It seems that the experience gained in fleeing from the same species could be transferred to another context and used in predator evasion. Even a fry’s experience of being chased by a parent and taken into its mouth for safe carrying back to the nest may help the fry to avoid predators later in life, as reported for some populations of sticklebacks.
✽evade: 회피하다
✽✽fry: 치어(아주 어린 물고기)
✽✽✽sticklebacks: 큰가시고기
↓
The experience of a young fish being (A) by adult fish of its own species was found to be (B) to its ability to escape from predators later in life.
(A) (B)
① excluded …… related
② pursued …… dissimilar
③ excluded …… damaging
④ pursued …… related
⑤ protected …… dissimilar
{해석}
포식자를 피하는 법을 배우는 것에 관해서, 구피에 대한 보고할 가치가 있는 흥미로운 실험이 하나 있다. British Columbia 대학교의 Robin Liley의 실험실에서 Wayne Goodey는 두 가지 다른 조건에서 구피를 사육했다. 한 집단은 그들을 자주 뒤쫓아 오는 성체 구피들과 접촉했고, 반면에 또 다른 집단은 성체들을 보거나 냄새를 맡을 수는 있었지만 그들에 의해 뒤쫓길 수는 없었다. 나중에 자라서, 포식성 물고기 근처에 두었을 때, 오직 같은 종에 의한 것이긴 했지만 뒤쫓기는 경험을 한 첫 번째 집단이 또 다른 집단보다 더 자주 포식성 물고기로부터 탈출했다. 같은 종으로부터 도망치던 것에서 얻은 경험이 다른 상황으로 전이되어 포식자로부터의 탈출에 사용될 수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큰가시고기류 개체군 일부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치어가 어미에게 뒤쫓기고 둥지로 안전하게 이동되기 위해 어미의 입 안에 넣어지던 경험조차도 그 치어가 나중에 자라서 포식자를 피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 같은 종에 속한 성체 물고기로부터 뒤쫓기는 어린 물고기의 경험은 나중에 자라서 포식자로부터 탈출하는 능력과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not aging so much as the recognition of less time left to live that triggers the shift in what people want out of their interactions. Young adults, when placed either under artificial time constraints through experimental manipulations or under real time constraints, show similar preferences toward the emotional functions of social interactions as do older adults. Endings of any kind bring out strong emotions and cause you to want to spend time with the people who have been closest to you. Think of times when significant life events have come to an end, such as when you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said goodbye to a friend who moved across the country. Knowing that you did not have much time left to spend with these people, you wanted to make the most out of the time you did have before it came to an end. The desire to maximize emotional rewards leads adults increasingly to prefer spending time with people who are familiar to them rather than seeking out new friends and acquaintances.
✽acquaintance: 지인
↓
When they realize that the (A) of a close relationship is approaching, people tend to spend more time with the people in these existing relationships to receive more (B) rewards.
(A) (B)
① peak ……… intrinsic
② parting …… material
③ conclusion …… psychological
④ crisis ………… physical
⑤ breakup …… exclusive
{해석}
사람들이 그들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원하는 것에 변화를 유발하는 것은, 노화라기보다는 오히려 살 수 있는 시간이 더 적게 남았다는 인식이다. 젊은 성인은 실험 조작을 통한 인위적인 시간 제약에 놓일 때든, 혹은 실제적인 시간 제약에 놓일 때든, 사회적 상호 작용의 정서적 기능에 대해 나이가 더 많은 성인이 보여 주는 것과 유사한 선호를 보인다. 어떤 종류의 종말이든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자신과 가장 가까웠던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고 싶게 만든다. 여러분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나라 반대편으로 이사한 친구와 작별했을 때와 같이 중요한 인생의 사건들이 종말에 이르렀던 때를 생각해 보라. 이 사람들과 함께 보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여러분은 끝나기 전에 여러분이 정말로 가졌던 그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기를 원했다. 감정적인 보상을 극대화하려는 바람은 성인들이 새로운 친구와 지인을 찾는 것보다 자신들에게 친숙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을 점점 더 선호하게 한다.
→ 사람들은 가까운 관계의 끝맺음이 다가오는 것을 알게 되면 더 많은 심리적인 보상을 받기 위해 이러한 기존 관계의 사람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다.
3.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at the earliest humans found at hand was stone. Later they discovered clay and how to fire it, which was hugely important to the growth and viability of large cities. This innovation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ceramic pots in large quantities), which occurred in the area of Anatolia, in modern-day Turkey, eight thousand years ago, made possible the easy cooking and storage of liquids and grains, as well as their transport. Since the earliest known examples of writing appear on clay tablets unearthed in Mesopotamia, we know that clay was as important for storing information as it was for storing food. Because of the durability of these tablets, archaeologists have been able to recover remarkably detailed records going back five thousand years. In fact, clay tablets had a far greater chance of surviving over the millennia than papyrus, so we have more “hard” facts about life in ancient Mesopotamia than we do about events that occurred in Palestine a thousand years later.
✽viability: 존립 가능성
↓
The discovery of clay and how to fir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 of large cities and the durability of clay allowed humans to (B) information as well as food for long periods of time.
(A) (B)
① development …… analyze
② development …… preserve
③ overpopulation …… process
④ transformation …… produce
⑤ transformation …… share
{해석}
가장 초기 인류가 가까이에서 찾은 것은 돌이었다. 나중에 그들은 점토와 그것을 굽는 방법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대도시의 성장과 존립 가능성에 매우 중요했다. (대량의 도자기 단지의 생산을 가져다준) 이 혁신은 오늘날의 터키에 있는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8천 년 전에 일어났는데, 액체와 곡물의 운반뿐만 아니라 용이한 요리와 보관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가장 초기에 알려진 글의 예들이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굴된 점토판에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점토가 음식을 저장하는 것만큼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도 중요했다는 것을 안다. 이러한 판들의 내구성 때문에 고고학자들은 5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놀랄 만큼 상세한 기록을 복구할 수 있었다. 사실, 점토판은 파피루스 종이보다 수천 년 동안 잔존할 가능성이 훨씬 더 컸기에 우리는 천 년 후 팔레스타인에서 발생했던 사건들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의 삶에 대해 더 많은 ‘단단한[확고한]’ 사실을 가지고 있다.
→ 점토와 그것을 굽는 방법의 발견은 대도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점토의 내구성은 인간이 음식뿐만 아니라 정보를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해 주었다.
4.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used to be the dream of computer scientists to be able to develop a machine that could recognize distinct patterns, such as faces, everyday objects, or animals, and then categorize them into groups much the way babies and children do. In the past few years, developers have managed to accomplish some of these goals previously thought to be impossible. The problem was counterintuitive: what comes naturally to a baby, was considered incredibly difficult or impossible for a computer to do. Though, the reverse is also true: the collection, sorting, and computing of vast amounts of data, as the result of the recent data explosion of the past two decades, would be impossible for any individual human or even millions of humans to do. Our collective human brain computational power could never match that of computers, which has exponentially grown nearly beyond imagining. The sheer amount of data produced in recent years is not manageable or useful unless employing supercomputer computational capacities.
✽exponentially: 기하급수적으로
↓
Computer scientists have made some progress in their attempts to build a machine capable of (A) patterns as babies and children do, but the computer’s real strength lies in the (B) of data that it is able to process.
(A) (B)
① discerning …… applicability
② discerning …… quantity
③ recalling …… variety
④ recalling …… quality
⑤ analyzing …… availability
{해석}
얼굴, 일상의 물건, 혹은 동물과 같은 뚜렷이 다른 패턴을 인식한 다음 아기와 어린이가 하는 것과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그것을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컴퓨터 과학자들의 꿈이었다. 지난 몇 년 동안, 개발자들은 이전에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던 이러한 목표 중 몇 가지를 가까스로 성취했다. 문제는 직관에 반대되는 것이었는데, 아기에게 자연스럽게 생기는 것이 컴퓨터가 수행하기에는 놀랍도록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여겨졌다. 그렇지만 그 정반대도 또한 사실이어서, 최근에 지난 20년간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 결과로 막대한 양의 데이터의 수집, 분류, 계산은 어느 인간 개인 혹은 심지어는 수백만 명의 인간도 수행하기에 불가능할 것이다. 우리의 집단적인 인간 두뇌의 계산력은 컴퓨터의 계산력과 절대 맞먹을 수 없을 것이고, 그것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왔다. 최근 몇 년 동안 생산된 데이터의 순전한 양만 해도 슈퍼컴퓨터의 계산 능력을 활용하지 않고는 통제하거나 이용할 수 없다.
→ 컴퓨터 과학자들은 아기와 어린이가 하는 것과 같이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려는 시도에서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지만, 컴퓨터의 진정한 강점은 그것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 있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8강 장문의 이해 2 (0) | 2022.07.18 |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7강 장문의 이해 1 (0) | 2022.07.18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5강 문장 삽입 (0) | 2022.07.18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4강 글의 순서 파악 (0) | 2022.07.17 |
2023학년도 수능완성 영어영역 13강 무관한 문장 파악 (0) | 2022.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