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ethics is a dynamic, changing form of activity, then ethics is not a set of rules to be followed blindly or defended dogmatically. In many cases, there will be legitimate debate as to whether and how rules should apply. Even principles we hold dear may have to be reinterpreted in light of new developments. For example, how to appl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life to the issue of how long to keep a dying person alive through new technology. Moreover, the boundaries of ethics shift. In our time ethics has come to include such issues as animal welfare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Ethics is not just the disposition to adhere to rules but also the disposition to critique and improve the rules.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living one’s ethics, as an activity, and simply following a set of rules. The former rejects the sheer acceptance of rules and conventions. Ethics requires that we _________________.
*dogmatically: 교조(敎條)적으로
**disposition: 성향
***sheer: 절대적인, 순전한
① conform to time-tested conventions
② consider the practical aspects of our lives
③ show consistency in making ethical decisions
④ follow rules that we have examined critically
⑤ draw up rules based on our basic commonalities
{해석}
만약 윤리가 역동적이고 변화하는 유형의 활동이라면, 윤리는 맹목적으로 따르거나 교조적으로 옹호되어야 할 일단의 규칙이 아니다. 여러 경우에, 규칙을 적용할지의 ‘여부’와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에 관한 정당한 논의가 있을 것이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원칙조차도 새롭게 진전된 국면을 고려하여 재해석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생명 존중의 원칙을 죽어 가는 사람을 얼마나 오랫동안 새로운 기술로 살아 있도록 해야 하느냐는 사안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와 같은 것이다. 게다가, 윤리의 범위도 바뀐다. 우리가 사는 시대에서 윤리는 동물 복지와 환경을 보호하는 것과 같은 사안도 포함하게 되었다. 윤리는 규칙을 충실히 지키려는 성향뿐만이 아니라 규칙을 비판하고 개선하려는 성향이다. 어떤 하나의 활동으로서 윤리를 실천하는 것과 단순히 일단의 규칙을 따르는 것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전자는 규칙과 관습에 대한 절대적인 수용을 거부한다. 윤리는 우리에게 우리가 비판적으로 고찰한 규칙을 따를 것을 요구한다.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compared to people using search engines, as recent studies show, those who seek news and information from social media are at a higher risk of becoming trapped in a “collective social bubble” where news is shared within communities of like-minded individuals. In these bubbles of filtered information, people choose to consume material that reinforces their existing attitudes. Even when opposing views appear side by side, people still select from content that upholds opinions they already agree with. The internal logic of social media platforms themselves reinforces their users’ “safe” choices by offering them ________________________. In this way, online collaboration amplifies the echo chambers and further insulates the filter bubbles. For better or for worse, the process of discovery undergoes a transformation, from an individual to a social endeavor.
*insulate: 고립시키다, 차단하다
① a narrower spectrum of sources
② a protection against group pressure
③ tools to objectively assess their reality
④ fair and balanced sources of information
⑤ democratic platforms for expressing ideas
{해석}
최근 연구들이 보여 주듯이,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비교할 때, 소셜 미디어로부터 뉴스와 정보를 얻으려는 사람들은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로 이루어진 공동체 내에서 뉴스가 공유되는 ‘집단적인 사회적 버블’ 안에 갇히게 될 위험이 더 크다. 이런 여과된 정보의 버블 안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기존 사고방식을 강화하는 자료를 소비하는 것을 선택한다. 비록 서로 다른 관점이 함께 등장할 때도 사람들은 계속해서 그들이 이미 동의하는 의견을 옹호하는 콘텐츠에서 선택한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 그 자체의 내부 논리가 더 좁은 범위의 (정보의) 원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안전한’ 선택을 강화한다. 이런 방식으로, 온라인상의 협력은 에코 체임버를 확대하고 필터 버블을 더욱더 고립시킨다. 좋든 나쁘든, (뉴스와 정보를) 발견하는 과정은 개인적인 노력에서 사회적인 노력으로의 변동을 겪는다.
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Laboratory research is generally preferred to field research. The reason is simple and has to do with what a laboratory is. We tend to think of a laboratory as a room with gray or black furniture, no curtains on the windows, tile floors, and workers dressed in white coats. Certainly we are describing one type of laboratory, but the descrip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essentials of research. Basically, a scientific laboratory is a place set up to allow the most appropriate control over variables of interest in the particular research. Thus, a social psychology laboratory might well have rugs on the floor, curtains on the windows, pictures on the walls, and comfortable chairs — like any living room. Laboratory work in social psychology requires control over elements such as choice of participants, beginning and end of social interaction, and freedom from distraction. If someone’s home or a storefront building meets these requirements, such a setting might be a better preparation and serve just as well or better than a sterile-looking room. The results of laboratory research depend entirely 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terile-looking: 살균한 것처럼 보이는
① the control over the use of research funds
② the commitment that a research team makes
③ the degree and type of control that is possible
④ the lab equipment that is used to conduct sampling
⑤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s
{해석}
실험실 연구는 일반적으로 현장 연구보다 선호된다. 그 이유는 간단하고 실험실이 무엇인지와 관련이 있다. 우리는 실험실을 회색이나 검은색 가구, 창문에 커튼이 없고, 타일이 깔린 바닥, 그리고 하얀 코트를 입은 일하는 사람들이 있는 방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분명히 우리는 한 종류의 실험실을 설명하고 있지만, 그 설명은 연구의 본질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기본적으로, 과학 실험실은 특정한 연구에서 관심 있는 변인에 대한 가장 적절한 통제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장소이다. 그러므로 사회 심리학 실험실에는 여느 거실처럼 바닥에 깔개, 창문에 커튼, 벽에 그림, 그리고 안락의자가 있을 수 있다. 사회 심리학에서 실험실 작업은 참가자의 선택, 사회적 상호 작용의 시작과 끝, 그리고 집중을 방해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와 같은 요소들에 대한 통제를 필요로 한다. 만약 누군가의 집이나 상점 건물이 이러한 필요조건을 충족시킨다면, 그러한 환경은 더 나은 준비가 될 수도 있고 살균한 것처럼 보이는 방만큼 또는 그보다 더 나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험실 연구의 결과는 전적으로 가능한 통제의 정도와 유형에 달려 있다.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Huge amounts of evidence support the view that the “conscious self” is, in fact, a very small portion of the mind’s activity. Perception, abstract cognition, emotional processes, memory, and social interaction all appear to proceed to a great extent without the involvement of consciousness. Most of the mind is nonconscious. These “out-of-awareness” processes do not appear to be in opposition to consciousness or to anything else; they create the foundation for the mind in social interactions, internal processing, and even conscious awareness itself. Nonconscious processing influences our behaviors, feelings, and thoughts. Nonconscious processes impinge on our conscious minds: We experience sudden intrusions of elaborated thought processes (as in “Aha!” experiences) or emotional reactions (as in crying before we are aware that we are experiencing a sense of sadness). So we can say that for the most part, the self is no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Rather, the self is created by nonconscious processes, as well as by the selective associations of these processes into something we call “consciousness.” To put it another way, we are much, much more than our conscious processes.
*impinge on: ~에 영향을 주다
① viewed as a fixed, predetermined set of values and interests
② to be found in the conflict between consciousness and emotion
③ just a process of continual adaptation to changing circumstances
④ always experienced as positive and necessary for a meaningful life
⑤ divided by some line between a conscious and a nonconscious self
{해석}
엄청난 양의 증거가 ‘의식적인 자아’는 사실 정신 활동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는 관점을 뒷받침한다. 지각, 추상적 인지, 정서적 과정, 기억, 그리고 사회적 상호 작용은 모두, 대개 의식의 개입 없이 진행되는 것처럼 보인다. 정신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이다. 이러한 ‘인식 밖의’ 과정들은 의식이나 다른 어떤 것에 대해서도 대립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즉, 그것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 내면적인 처리, 그리고 심지어 의식적 인식 그 자체에서 정신을 위한 기초를 만든다. 무의식적인 처리는 우리의 행동, 감정, 그리고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 무의식적인 과정들은 우리의 의식적인 정신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우리는 (‘아하!’를 경험할 때처럼) 정교한 사고 과정의 갑작스러운 개입을 경험하거나 (우리가 슬픔이라는 감정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기 전에 울 때처럼) 감정적인 반응들을 경험한다. 그래서 우리는 대개, 자아는 의식적인 자아와 무의식적인 자아 사이의 어떤 선에 의해 나뉘어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오히려, 자아는 이런[무의식적인] 과정과 이른바 ‘의식’이라고 하는 것의 선택적 연합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인 과정에 의해서도 창조된다. 달리 말하면, 우리는 우리의 의식적인 과정보다 정말 훨씬 더 큰 존재이다.
5.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tivated reasoning is a strong element in the distrust of scienc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believing in an unregulated market economy and skepticism toward climate research and the reality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s. A study offers the explanation that the claim of emissions being a real and big threat is itself a threat to the market economy that depends massively on fossil fuels. The principle seems to be that it is better to distrust the reliability of the climate research than to revise views of the market. The tendency to resist facts is so clear that people’s ability to solve math tasks is impaired 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otivated reasoning must go deep if it even affects the capacity to calculate. Better to get facts and even calculation rules out of the way than to change your point of view and allow facts to disturb your convictions, political identity, and perception of reality. Why would one want to allow that if one is so convinced of being right?
*anthropogenic: 인간의 활동에서 비롯된
① the result is not to their liking
② the imagination is not fun to use
③ group activities are not recommended
④ the intrinsic motivation is reduced to zero
⑤ basic concepts of mathematics are not mastered
{해석}
동기를 지닌 추론은 과학에 대한 불신의 강력한 요소이다. 규제되지 않는 시장 경제가 옳다는 믿음과 기후 연구 및 인간의 활동에서 비롯된 기후 변화의 현실에 대한 회의론 사이에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연구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실제적이고 커다란 위협이라는 주장은 그 자체가 화석 연료에 크게 의존하는 시장 경제에 위협이라는 설명을 내놓는다. 그 원리는 기후 연구의 신뢰성을 불신하는 것이 시장에 관한 관점을 수정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에 저항하는 경향이 매우 분명하므로 결과가 그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사람들의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이 손상된다. 동기를 지닌 추론이 심지어 계산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한다면 그것은 심각함에 틀림없다. 사실과 계산 규칙까지 치워 버리는 것이, 여러분의 관점을 바꾸어 사실이 여러분의 확신, 정치적 정체성, 그리고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방해하도록 허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이다. 만약 자기가 옳다는 것을 그토록 확신한다면 왜 그것을 허용하고 싶겠는가?
6. 밑줄 친 take out periodic loan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ristotle conceived of democracy as a ruling partnership among relative equals. The ancient approach was to look for one, all-purpose epistemic virtue for the political domain. We lack a word in our vocabulary that picks out a distinctive political expertise — a techne for modern democracy. This is no accident. The model of an agency relationship gets its purchase from its ability to divide up cognitive labor — to permit knowledge specialization by political actors. You could spend all your life informing yourself about any given subdomain of the modern bureaucratic state. To avoid this overload, democratic citizens take out periodic loans. They transfer their decision-making authority to agents who bear their decisional costs, by contracting out some of their obligations. This drastically reduces the political reasoning that they must engage in on a daily basis. The freedom that this form of agency offers should not be downplayed.
*epistemic: 인식론적인
**techne: (지식 체계로서의) 기술
① try to gain political support for the reform
② demand the government reduce economic instability
③ provide detailed feedback about policies and procedures
④ delegate decision-making to their elected representatives
⑤ expect the government to extend its involvement in social welfare programs
{해석}
아리스토텔레스는 민주주의를 상대적으로 동등한 사람들 사이의 통치하는 동반자 관계로 생각했다. 고대의 접근법은 정치 영역을 위한 하나의 다목적적인 인식론적 장점을 찾는 것이었다. 우리의 어휘에는 특유한 정치적인 전문 지식, 즉 현대 민주주의를 위한 ‘기술’을 가려내는 단어가 부족하다. 이것은 우연이 아니다. 대리 관계 모형은 인지 노동을 나눌 수 있는 능력, 즉 정치 행위자에 의한 지식 전문화를 허용하는 능력에서 그것의 강점을 얻는다. 여러분은 현대 관료주의 국가의 어떤 주어진 하위 영역에 대해 알아내느라 평생을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 민주주의 체제의 시민들은 주기적으로 대출을 받는다. 그들은 그들의 의무 중 일부를 도급함으로써 자신의 의사 결정 권한을 그들의 의사 결정 경비를 부담하는 대리인에게 양도한다. 이것은 그들이 일상적으로 해야 하는 정치적 추론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이런 형태의 대리가 제공하는 자유는 경시되어서는 안 된다.
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teachers and caregivers use child-appropriate language and examples, young children can be easily drawn into discussions of fairness and difference, learning to be open-minded and accepting of others. What better way to engage the issue of fairness and difference than with the incorporation of the world’s musical cultures? Through music instruction that contextualizes and humanizes musicking, young children come to know “others” and what makes them special (or even similar). An example might come in the form of a discussion of the musical gender roles in traditional Andean musical cultures. Men traditionally play the instruments (e.g., various flutes) while women serve as singers and lyricists. Many children exclaim, “that’s not fair!” in response to acquiring this knowledge. The skillful music teacher must help them understand that the culture enjoys the higher pitched sound of the women’s voices, and, as the men cannot sing in that way, they play instruments that mimic that register. What might not seem fair at first glance can ________________.
*musicking: 음악 활동
**register: (목소리·악기의) 음역
① be illuminated by a bit of context
② damage children’s ability to compose music
③ reinforce children’s ideas about gender roles
④ be overcome by changing each child’s position
⑤ be corrected by listening to diverse genres of music
{해석}
교사와 아이를 돌보는 사람이 아이에게 적합한 언어와 사례를 이용할 때, 어린아이들은 마음을 여는 것을 배우고 다른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공정성과 차이에 관한 토론으로 쉽게 이끌릴 수 있다. 세계의 음악 문화를 포함시키는 것보다 공정성과 차이의 문제를 관련시키기에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이겠는가? 음악 활동을 맥락화하고 인간화하는 음악 교육을 통해 어린아이들은 ‘다른 사람들’과 무엇이 그들을 특별하게 (또는 심지어 비슷하게) 만드는지도 알게 된다. 한 사례는 전통적인 안데스산맥 주민의 음악 문화에서 음악적 성 역할에 대한 토론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남자들은 전통적으로 악기(예를 들면, 다양한 피리)를 연주하는 반면, 여자들은 가수와 작사가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것을 알게 된 데 대한 반응으로 많은 아이가 “그건 불공평해요!”라고 외친다. 능숙한 음악 교사는 그 문화는 여자 목소리의 더 높게 내는 소리를 즐기고 남자는 그런 식으로 노래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음역을 흉내 내는 악기들을 연주한다는 것을 그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야 한다. 언뜻 보기에 공정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약간의 맥락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e example of a stimulus releaser can be found in the behavior of the herring gull chick. Parent gulls, noted for their scavenging, return to the nest and disgorge food for the benefit of the chick. The bill of the herring gull is yellowish in color, but it also contains a bright red spot on the lower mandible. As the parent’s bill opens the chick pecks in the direction of the red spot and receives the food. The actions of the parents and the chick are thus coordinated in feeding. The chick normally pecks at the parent’s bill, but it may also be induced to peck at models constructed to resemble, in different degrees, the bill of the parent. Chicks direct pecks towards the models, although they barely resemble the parent’s bill in physical appearance, if the model has a red spot situated on it at a convenient pecking position. In the absence of the spot, pecking may not occur, although the model closely resembles the parent’s bill in other respects. Clearly, the red spot acts a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scavenge: 죽은 고기를 먹다
**disgorge: 토해 내다
***mandible: (새의 아래 또는 위의) 부리
① the signal that the food is safe
② the sign that the mother is near
③ the trigger for the pecking response
④ the device for identifying color blindness
⑤ the mark that indicates the chick’s parent
{해석}
자극 해발인(解發因)의 한 예는 재갈매기 새끼의 행동에서 찾을 수 있다. 부모 갈매기들은, 죽은 고기를 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둥지로 돌아와 새끼를 위해 먹이를 토해 낸다. 재갈매기의 부리는 색이 누르스름하지만, 그것은 또한 아래쪽 부리에 밝은색의 붉은 반점이 있다. 부모의 부리가 열리면 새끼는 붉은 반점 방향으로 쪼아 먹이를 받는다. 부모와 새끼의 행동은 이런 식으로 먹이 주기에 맞게 조정되어 있다. 새끼는 보통 부모의 부리를 쪼지만, 그것은 또한 서로 다른 정도로, 부모의 부리를 닮도록 설치된 모형들을 쪼도록 유도될 수도 있다. 새끼들은 비록 그 모형들이 물리적 생김새에서 부모의 부리와 거의 닮지 않았지만, 그 모형이 쪼기에 편리한 위치에 붉은 반점이 놓여 있다면, 모형을 향해 쪼아 댄다. 그 반점이 없을 때는, 그 모형이 다른 면에서 부모의 부리와 매우 닮았다고 하더라도, 쪼기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분명히, 그 붉은 반점은 쪼는 반응을 촉발하는 것으로서 역할을 한다.
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Critically, regarding AI, our prospective fate is less about the threat of an evil Terminator robot army and more about the fact that AI has no inherent reason to ________________________. For now, it neither loves us nor hates us, but there are signs that our smart tech may soon understand us better than we understand ourselves. It will most likely become smarter than we are, and soon. So unless we design it in alignment with our highest aspirations, the priorities of thinking machines may be totally alien to us. AI will be motivated by its own logic rather than human concerns, from love to compassion to peace. Even if we manage to design AI that shares our most precious values and install within it an algorithmic sense of virtue, there is no guarantee that, as it becomes more independent, it won’t abandon those ideals.
① predict the future
② share human goals
③ save humans from dangerous jobs
④ protect our data from being attacked
⑤ help humans do things more creatively
{해석}
결정적으로, AI와 관련해, 우리의 장래 운명은 사악한 터미네이터 로봇 군대의 위협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AI가 인간의 목표를 공유할 내재된 이유가 없다는 사실과 관련된 것이다. 지금은 그것이 우리를 사랑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지만, 스마트 기술이 곧 우리가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보다 우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 그것은 필시 우리보다 더 똑똑해질 것이고, 곧 그렇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그것을 우리의 최고의 열망의 대상에 맞추어 설계하지 않는다면, 생각하는 기계가 정하는 우선순위는 우리에게 완전히 이질적일 수도 있다. AI는 사랑에서 연민, 평화에 이르기까지의 인간적인 관심보다는 그 자체의 논리에 의해 동기가 부여될 것이다. 비록 우리가 우리의 가장 소중한 가치를 공유하는 AI를 어렵사리 설계해서 그 안에 미덕에 대한 알고리즘의 감각을 설치한다 해도, 그것이 더 독립적이 됨에 따라, 그러한 이상을 버리지 않을 것이 라는 보장은 없다.
1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Perhaps owing to their negative program, many people have developed the habit of interpreting things as right that should naturally displease them. This enables them to avoid the unpleasant negative feelings, and to seemingly only experience joy. So-called positive thinking, which has been a real trend of late, is based on this principle: ________________________ as the key to a happy life. Unfortunately, this strategy often results in living in an illusory world. If carried to an extreme, it leads to the denial, reinterpretation, or repression of anything that would naturally displease us. “Smile at any price and do not look at the shadowy side of things” is a strategy that might create pleasure in the short-term, but in the long-term it will create the disease of discontent. All of us are confronted with things in our lives that require an interpretation other than “This is beautiful” and “This is right.” To deny this means to deny the nature of duality and of life itself.
① creating an excess of joy
② living a goal-oriented life
③ focusing on the present moment
④ accepting a given situation as it is
⑤ jumping to a conclusion about a problem
{해석}
아마도 자신의 부정적인 프로그램 때문인지, 많은 사람들이 당연히 자신을 불쾌하게 할 것들을 옳은 것으로 해석하는 습관을 길러 왔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불쾌한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고, 겉으로 보기에만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실제 트렌드로 자리 잡은 이른바 긍정적 사고는 다음의 원칙, 즉 과도한 즐거움을 창출하는 것이 행복한 삶으로 가는 열쇠라는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이 전략은 종종 환상의 세계에 사는 결과를 낳는다. 극단으로 치닫게 되면, 그것은 당연히 우리를 불쾌하게 할 어떤 것도 거부하거나, 재해석하거나, 혹은 억압하게 만들게 된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미소를 지으며 사물의 그늘진 면을 보지 않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기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략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불만의 병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우리 모두는 삶에서 “이것이 아름답다”, “이것이 옳다” 외에 다른 해석을 요구하는 것들에 직면하게 된다. 이것을 부정하는 것은 이중성과 삶 자체의 본질을 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1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_______________. When we start looking for easy analogies to current events in movies, we miss what the movies are saying. Making a movie takes a lot of time, and the hot topics of today likely weren’t the hot topics of the day when the movie was written, financed, and filmed. For example, when Pixar’s WALL·E was released in theaters in 2008, many people saw it as blatant propaganda for the environmental movement. After all, WALL·E’s story centers around saving the planet from over-pollution via a tiny plant growing in a work boot, An Inconvenient Truth had recently won the Oscar for Best Documentary in 2007, and the environment was a consistent issue in the 2008 presidential election. However, writer/director Andrew Stanton first conceived of the movie — including the fact that the earth is covered in garbage and that our robot hero finds a single living plant — in 1999, long before the current environmental movement was winning Oscars and being debated by presidential candidates.
*blatant: 노골적인
**propaganda: (어떤 단체·운동에 의한) 선전
① movies are not always topical
② movies about social problems can be popular
③ movies featuring robots are favored by children
④ the future depicted in movies is usually presented in a negative way
⑤ environment-themed movies require much external financial support
{해석}
영화가 항상 시사와 관련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영화 속에서 시사 문제들과의 쉬운 유사점을 찾기 시작하면, 우리는 영화가 말하는 것을 놓친다. 영화를 제작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리며, 오늘날 뜨거운 관심을 받는 주제가 영화의 대본이 쓰이고, 그 자금이 공급되며, 촬영되던 그 시기에 뜨거운 관심을 받던 주제는 아니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008년에 Pixar의 WALL·E가 극장에서 개봉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환경운동에 대한 노골적인 선전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결국, WALL·E의 이야기는 작업화 속에서 자라는 작은 식물을 통해 과도한 오염으로부터 지구를 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An Inconvenient Truth가 최근 2007년 최우수 다큐멘터리 부문에서 오스카상을 수상했으며, 2008년 대통령 선거에서 환경이 일관된 쟁점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가 겸 감독 Andrew Stanton이, 지구가 쓰레기로 덮여 있고 우리의 로봇 영웅이 단 하나의 살아 있는 식물을 발견한다는 점을 포함하여 이 영화를 처음 구상했던 것은, 1999년, 즉 당시의 환경 운동이 오스카상을 수상하고 대선 후보들에 의해 토론되고 있기 훨씬 전이었다.
12. 밑줄 친 The “artifact” status of certain emotion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artifact” status of certain emotions was famously proposed by William James and Carl Lange roughly a century ago. In an often quoted passage, James argued that fear was evoked by the act of trembling, sorrow was evoked by the act of crying, and so on. This “James-Lange” theory of emotion has a checkered history. Some important research supports the theory. One example is found in a simple experiment carried out by Fritz Strack and his colleagues whe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hold a pencil in their mouth. In one condition, participants held the pencil using their teeth without allowing their lips to touch the pencil. In a contrasting condition, participants held the pencil with their lips only. Strack showed that the manner by which participants hold the pencil has a direct effect on how they feel. Grasping a pencil between your teeth causes you to feel happier than grasping it with your lips. The difference can be traced to the flexing of the zygomatic muscles: holding a pencil between your teeth produces something very similar to smiling. It is not just that you smile when happy — you can feel happy because you smile.
*checkered: 변화가 많은
**zygomatic: 광대뼈의
① Exposure to unexpected circumstances can cause stress.
② Emotions can be aroused by certain physical expression.
③ Repetitive training can increas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④ Trying to artificially create emotions has various negative effects.
⑤ Sadness and happiness are determined by the way you look at life.
{해석}
특정 감정의 ‘인공물’ 상태는 대략 1세기 전에 William James와 Carl Lange가 제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자주 인용되는 구절에서 James는 떠는 행동은 두려움을 일깨우고, 우는 행동은 슬픔을 일깨운다는 등의 주장을 했다. 이 ‘James-Lange’ 감정 이론은 변화가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어느 중요한 연구가 그 이론을 뒷받침한다. 한 예는 Fritz Strack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실시된 간단한 실험에서 발견되는데, 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연필을 입에 물고 있으라고 요청을 받았다. 한 조건에서, 참가자들은 그들의 입술이 연필에 닿지 않게 치아를 사용하여 연필을 잡았다. 대조적인 조건에서, 참가자들은 입술로만 연필을 잡았다. Strack은 참가자들이 연필을 잡는 방식이 그들이 느끼는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연필을 치아 사이에 끼우고 잡는 것은 입술로 그것을 잡는 것보다 여러분을 더 행복하다고 느끼게 한다. 그 차이는 광대뼈 근육의 휨에서 비롯될 수 있는데, 치아 사이에 연필을 붙잡고 있는 것은 미소 짓는 것과 매우 유사한 것을 만들어 낸다. 여러분은 행복할 때 웃을 뿐만 아니라, 웃기 ‘때문에’ 행복을 느낄 수도 있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6강 (0) | 2022.04.14 |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5강 (0) | 2022.04.13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3강 (0) | 2022.04.11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2강 (0) | 2022.04.07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1강 (0) | 2022.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