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Hormones are natural chemicals produced in the thyroid, ovaries, and other glands. ① Carried in the bloodstream to target tissues, each hormone exerts effects specific to the hormone. As one illustration, estrogen produced in the ovaries is transported to responsive tissues ② where it stimulates and maintains changes that make an animal female. At natural levels estrogens and other hormones exert actions ③ vital to an animal’s well-being. The estrogen hormone reacts with a specific receptor molecule in its target tissue, and the hormone-receptor complex draws a response. Only a tiny dose of a hormone is needed to react with the receptor although, up to a point, the response ④ increasing as the dose increases. However, if the dose continues to rise, negative feedback comes into play and this can turn off the hormone’s effect. So what will happen if an environmental hormone (pollutant) can mimic a hormone? Fortunately, a pollutant is a very weak “hormone” compared with the real ⑤ one. Nonetheless, wildlife is often directly exposed to such pollutants and sometimes serious effects are seen.
*thyroid: 갑상선
**ovary: 난소
***gland: (분비)선(腺)
{해석}
호르몬은 갑상선, 난소, 그리고 다른 분비선에서 생성되는 천연 화학 물질이다. 각각의 호르몬은 혈류에서 표적 조직으로 운반되어, 해당 호르몬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한 실례로,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은 반응 조직으로 운반되어 그곳에서 동물을 암컷으로 만드는 변화를 자극하고 유지한다. 자연적인 수준에서 에스트로겐과 여타 호르몬은 동물의 건강에 필수적인 작용을 한다.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그것의 표적 조직에서 특정 수용체 분자와 반응하고 호르몬 수용체 복합체는 반응을 끌어낸다. 비록 어느 정도까지는 양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 증가하지만, 수용체와 반응하기 위해서는 ‘아주 작은 양의 호르몬만 필요하다.’ 하지만, 양이 계속 증가하면, 부정적인 피드백이 작동하기 시작하고 이것은 호르몬의 효과를 없앨 수 있다. 그렇다면 환경 호르몬(오염 물질)이 호르몬을 흉내 낼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다행히 오염 물질은 실제 호르몬과 비교하면 매우 약한 ‘호르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생 동물은 흔히 그런 오염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때로는 심각한 영향이 목격된다.
2.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re may be groups in society who have been traumatized by their recent history, or feel culturally insecure, or are under particular threat. We may then need to give them rights not available to the majority in order to reassure them, promote social harmony, and foster a common sense of belonging. ① Born in the trauma of the partition of the country and the enormous intercommunal violence that accompanied it, the Constitution of India wisely decided to grant its minorities several additional rights. ② In Canada and the USA, indigenous peoples enjoy negative and positive rights required to protect their ways of life that are not available to others. ③ The indigenous peoples of Australia are great storytellers, passing on their cultures through songs, stories, paintings and dance. ④ Some countries such as Australia, Canada and India place a high value on cultural diversity and give extra resources and rights to their cultural minorities to help them flourish and contribute towards the creation of a rich and plural society. ⑤ In these and other cases minorities are clearly favoured and in some respects even privileged, but that is justified if it is in the larger interest of society.
*partition: 분단
**intercommunal: 공동체 간의
{해석}
사회에는 최근에 겪은 일에 의해 정신적인 충격을 받았거나, 문화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거나, 특정한 위협을 받고 있는 집단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면 우리는 그들을 안심시키고, 사회적 화합을 장려하며, 공동의 소속감을 길러 주기 위해 대다수에게는 이용 가능하지 않은 권리를 그들에게 줄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국가 분단과 그것에 수반된 공동체 간의 엄청난 폭력의 충격적인 경험에서 태어난 인도 헌법이 인도의 소수 민족에게 몇 가지 추가 권리를 부여하기로 결정한 것은 현명한 일이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토착 민족들은 자신의 삶의 방식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민족들은 이용할 수 없는, 소극적인 권리와 적극적인 권리를 누린다. (호주의 토착 민족들은 노래, 이야기, 그림 그리고 춤을 통해 자신의 문화를 전하는 훌륭한 이야기꾼들이다.) 호주, 캐나다, 그리고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들은 문화적 다양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자국의 문화적 소수 민족들이 번영하고 풍요롭고 다원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도록 돕기 위해 그들에게 추가적인 자원과 권리를 부여한다. 이런 경우들과 다른 경우들에서 소수 민족들은 분명히 유리한 대접을 받고 어떤 면에서는 심지어 특권도 부여받지만, 그것이 사회에 더 큰 이익이 된다면 그것은 정당화된다.
3.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e of the significant facts of human warfare in so-called primitive cultures is its highly ritualized character.
(A) The festival period is also a declared time for engaging in warfare, the principal aim of which is to deal with grievances and conflicts that have built up in the time between festivals, and to calm the spirits of ancestors. Rappaport distinguishes between minor and major episodes of war making. Minor war among the Tsembaga, though potentially deadly, is so highly stylized — the arrows used are not even fletched — that casualties are rare.
(B) Early twentieth-century anthropological studies of indigenous peoples contain a lot of descriptions and generally praiseworthy claims about the civility of their warfare. Roy Rappaport’s Pigs for the Ancestors is a study of the ritual and ceremonial life of Tsembaga people of the western highlands of Papua New Guinea.
(C) Traditionally, the Tsembaga are pig herders, and an important part of their ritual life is holding cyclical festivals in response to ecological dynamics associated with the pig population; when the pig population grows too large and threatens the yam crops, a festival is called to cull the herd.
*grievance: (부당한 취급에 대한) 불만
**fletch: (화살에) 깃을 붙이다
***cull: (특정 동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 죽이다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해석}
소위 원시 문화에서 인간의 전쟁에 관한 중요한 사실 중 하나는 그것의 매우 제의화된 성격이다. (B) 20세기 초반의 토착 민족들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는 그들이 하는 전쟁의 예의에 관한 설명과 일반적으로 칭찬할 만한 주장들을 많이 담고 있다. Roy Rappaport의 Pigs for the Ancestors는 Papua New Guinea의 서쪽 산악지대에 사는 Tsembaga 족의 제의적인 생활과 의례적인 생활에 관한 연구이다. (C) 전통적으로 Tsembaga 족은 돼지를 기르는 사람들이고, 그들의 제의적인 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은 돼지 개체 수와 관련된 생태적 역학에 대응하여 주기적인 축제를 여는 것인데, 돼지 개체 수가 너무 크게 증가해서 얌 작물을 위협할 때, 그 돼지 떼를 죽이기 위한 축제가 선언된다. (A) 그 축제 기간은 또한 전쟁을 벌이기 위해 선포된 시간이기도 한데, 그것의 주된 목적은 축제와 축제사이의 시간 동안 쌓인 불만과 갈등을 처리하는 것과 조상의 영혼을 진정시키는 것이다. Rappaport는 전쟁을 치르는 것에 관해 작은 사건과 큰 사건을 구별한다. Tsembaga 족 간의 작은 전쟁은, 치명적일 가능성은 있지만, 매우 양식화되어 있으므로, 사용되는 화살은 깃도 붙어 있지 않아, 사상자는 드물다.
4.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organic food market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one of the fastest-growing sectors in U.S. agriculture over the past decade. This has been recognized as a lucrative market (A) [which / where] businesses, including large corporations, can do well financially while also doing good for the environment. The majority of organic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reach the mouths of consumers in much the same way as their nonorganic counterparts: through highly centralized produc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 some instances, organic farms of today more resemble industrial agricultural operations than they (B) [are / do] diversified farms, which attempt to balance economic and ethical considerations. Nevertheless, a shift to organic management regimes by definition means a prohibition on the use of chemical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overused and misused in industrial agricultural production, (C) [results / resulting] in pollution of land, water, and air. Further, chemical residues impact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the bi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the resultant human health impacts.
*lucrative: 수익성이 좋은
**regime: 체제
***residue: 잔류물
(A) (B) (C)
① which …… are …… results
② where …… do …… resulting
③ which …… are …… resulting
④ where …… are …… resulting
⑤ where …… do …… results
{해석}
미국의 유기농 식품 시장은 지난 십 년 동안 미국 농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였다. 이것은 대기업을 포함한 기업이 금전적으로 성공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환경에 도움을 주는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인식되어 왔다. 미국 내 유기농 제품 대부분은 비유기농 제품과 매우 같은 방식으로, 즉 고도로 중앙 집중화된 생산, 가공, 그리고 유통 시설을 통하여 소비자의 입에 도달한다. 일부사례에서, 오늘날의 유기농 농장은 경제적 고려 사항과 윤리적 고려 사항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하는 다각 농장보다 산업화한 영농 기업을 더 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기농 관리 체제로의 전환은 정의상 산업화한 농업 생산에서 역사적으로 남용되고 오용되어 토지, 물, 그리고 공기의 오염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던 화학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화학적 잔류물은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 생기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생물학적 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005~00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Self-disclosure by the professional can be advantageous in some contexts. For example, appropriate teacher disclosures have benefits in the classroom. When teachers use positive disclosures that are directly linked to the lesson material, these are well received by students and (a) increase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In terms of valence, it can be acceptable for instructors to (b) reveal some negative experiences. For example, a sports teacher may detail an instance of having played badly and lost a game, or an art teacher may describe the production of a painting that did not turn out as well as expected. Teacher disclosures that are mildly negative can have a number of advantages: they (c) deny the fact that no one is perfect or flawless, but that we learn from our mistakes; they show a ‘human’ side to the teacher and this, in turn, can facilitate student liking and engagement; and, if teachers only use positive disclosures, they may be perceived as narcissistic, and students may feel inferior. However, teachers should avoid using too many negative disclosures. They should also definitely refrain from revealing deeply negative details (such as having stolen, told lies or cheated in examinations), as these have an (d) adverse impact on students. Thus, some studies showed that, while instructors made self-disclosures about their personal histories, families and everyday activities, they did not reveal information on personal matters, such as salary, or information that could (e) damage their credibility or lead to negative evaluations.
*valence: 유의성(誘意性), 유인성(誘引性)(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
5.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Help Quiet Students Find Their Voices in Class
② Benefits and Cautions of Teachers’ Self-disclosure
③ Managing Students’ Self-discl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④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Why Emotional Support Matters
⑤ Too Much Teacher Talk: A Barrier to Active Student Engagement
6.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전문가가 자신을 솔직히 드러내는 이야기는 어떤 상황에서는 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적절히 자신을 드러내는 이야기는 교실에서 유익하다. 교사가 수업 자료와 직접 연관이 있는 긍정적인 내용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이야기를 이용할 때, 이것은 학생들에게 잘 받아들여져 동기부여, 참여, 그리고 학습을 증진시킨다. 유의성 측면에서 교사들이 일부 부정적인 경험을 드러내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교사가 형편없이 경기를 해서 게임에서 진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거나, 미술 교사가 기대했던 것만큼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그림의 제작에 대해 설명할 수도 있다. 살짝 부정적인 내용으로 교사가 자신을 드러내는 이야기에는 많은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즉 그것은 완벽하거나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우리는 실수로부터 배운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강조하고), 교사의 ‘인간적인’ 면을 보여 주어, 이것은 결국 학생의 선호와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교사가 긍정적인 내용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이야기만 이용하면 자기도취적이라고 인식될 수도 있고, 학생들이 열등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교사는 부정적인 내용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이야기를 너무 많이 이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그들은 또한 (도둑질을 했다거나, 거짓말을 했다거나,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던 것과 같은) 매우 부정적인 세부 사항들을 드러내는 것을 분명히 삼가야 하는데, 이것들은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연구는 교사가 자신의 개인 이력, 가족과 일상 활동에 관해서는 자신을 솔직히 드러내는 이야기는 하지만, 봉급과 같은 개인적인 문제에 관한 정보나 자신의 신뢰성을 훼손하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유발할 수도 있는 정보는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t is a common experience among keyboard players in particular ① that page-turners do not turn early enough. I have, on several occasions, agreed in advance with a page-turner that a head nod would signal the turn, only to find in performance that the nod ② was ignored. “I couldn’t believe that you wanted me to turn so soon!” is a typical post-mortem remark. This experience alone is enough to tell the experienced performer that he reads further ahead than ③ is the average page-turner. A similar thing occurs in choirs ④ where a good and a less good reader are sharing the same copy. If the poor reader is controlling the copy he will invariably turn later than is comfortable for the good reader. Nonetheless, when one asks musicians to estimate how far ahead they ⑤ customarily read, they usually have only the vaguest of ideas.
*post-mortem: 사후의
{해석} 특히 악보의 페이지를 넘겨주는 사람이 충분히 일찍 페이지를 넘기지 않는 것은 건반 악기 연주자들 사이에서 흔한 경험이다. 나는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페이지를 넘기는 신호라는 점에 대하여 악보의 페이지를 넘겨주는 사람과 사전에 합의했지만, 결국 공연 중에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무시된 것을 알게 된 적이 여러 번 있었다. “그토록 빨리 넘기길 원하셨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었어요!”라고 말하는 것이 전형적인 사후의 발언이다. 이 경험만으로도 경험 많은 연주자에게 그가 보통의 악보의 페이지를 넘겨주는 사람보다 더 앞서 읽는다고 말하기에 충분하다. 악보를 읽는 데 능숙한 사람과 덜 능숙한 사람이 동일한 악보를 공유하는 합창단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만약 악보를 잘 읽지 못하는 사람이 그 악보를 통제한다면, 그는 언제나 악보를 잘 읽는 사람에게 편안한 속도보다 더 늦게 페이지를 넘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이 연주자들에게 그들이 습관적으로 얼마나 앞서서 악보를 읽는지 추정해 보라고 할 때, 그들은 대개 아주 어렴풋한 생각만을 가지고 있다.
8.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People’s perceptions of their position in wealth and income distributions are often inaccurate. Those who have a little tend to overestimate their position, and people who have a lot tend to underestimate it. ① There is a general tendency to under-report wages in survey questionnaires, though. ② And this is further affected by how satisfied people are with their wages. ③ No business which depends for existence on paying less than living wages to its workers has any right to continue. ④ Using a sample of workers from France, researchers compared how much employers said that the employees earned each month with how much the employees themselves said that they earned. ⑤ Those who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wages (the majority of people) tended to under-report the figure, but those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ages tended to over-report them.
{해석}
부와 소득 분배에 있어 자신들의 위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자주 부정확하다. 조금 가진 사람은 자신의 위치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많이 가진 사람은 그것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설문 조사표에는 임금을 낮게 보고하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임금에 얼마나 만족하는가에 의해 더욱 영향을 받는다. (존립을 위해 노동자에게 최저 생활 임금보다 더 적은 금액을 지급하는 것에 의존하는 사업체는 존속할 어떤 권리도 없다.) 프랑스 노동자 표본을 이용해 연구원들은 피고용인이 매달 얼마를 벌었는지 고용주가 말한 것과 자신들이 얼마를 벌었는지 피고용인 자신이 말한 것을 비교했다. 임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사람(대부분의 사람)은 수치를 낮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임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임금을 높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9.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Humor may serve a leader’s need to maintain face as well as to assist in saving a subordinate’s face.
(A) Humor also serves a leader’s need for a dignified profile when he or she makes an error. In another incident, a document which was produced by a leader contained an error, which elicited a humorous comment by the leader — “I find it really hard being perfect at everything.”
(B) This comment was followed by laughter from both sides. Here, the senior colleague conveyed a clear message that the report by his junior colleague was too wordy, but lessened its negative impact through the use of humor, which also serves the subordinate’s face needs.
(C) By analyzing recorded workplace interactions at business meetings, Holmes and Marra found indicators for both. When two advisors compared their written evaluations, the more senior and experienced advisor commented on the written evaluation of his junior colleague by saying “and apart from that, I’ve just got what you’ve got, but in a lot fewer words.”
*subordinate: 하급자
**elicit: 이끌어 내다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해석}
유머는 리더가 체면을 유지할 필요, 그리고 덧붙여 리더가 하급자의 체면을 세워 주는 것을 돕는 필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 업무 회의에서 기록된 직장 상호 작용을 분석함으로써 Holmes와 Marra는 두 가지 모두에 대한 지표를 발견했다. 두 고문이 서면평가를 비교할 때, 선배이자 경험 많은 고문이, “그리고 그것과는 별개로, 나는 바로 자네가 가지고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훨씬 더 적은 말로 했네.”라고 말함으로써 후배 동료의 서면 평가를 논평했다. (B) 이 평에 양측의 웃음이 이어졌다. 여기서 선배 동료는 후배의 보고서가 너무 장황하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지만, 유머의 사용을 통해 그것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였는데, 그것은 또한 하급자의 체면을 세우는 필요에도 도움이 된다. (A) 유머는 또한 리더가 실수를 했을 때 품위 있는 태도의 필요에도 도움이 된다. 다른 사례에서, 리더가 제작한 문서에 오류가 있었는데, 그것은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는 것은 정말 어렵군.”이라는 리더의 유머러스한 발언을 이끌어 냈다.
1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e are now living in an age where traditional religious values and commitments are being called into question. Many people today have rejected all traditional religious frameworks, characterizing ① themselves as secular or “spiritual but not religious.” This is not to say that they have figured out ② how to live entirely without value frameworks. If we take a step back, we will observe that even the most atheistic secular humanist is still committed to some very abstract, metaphysical framework, ③ revolve around such values as a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freedom, individualism and equal rights, and rationality as the preferred means for guiding public policy. ④ Looked at this way, secular humanism functions very much like a traditional religion. It gives its followers a set of sacred values that allows them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right and wrong, good and bad, as well as the motivation to punish or ⑤ avoid those who do not live up to those values.
*secular: 세속적인
**atheistic: 무신론자의
{해석}
우리는 지금 전통적인 종교적 가치와 헌신이 의심받는 시대에 살고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특징을 세속적이거나 ‘영적이긴 하지만 종교적이지는 않다고’ 하면서 모든 전통적인 종교적 틀을 거부해 왔다. 이것은 그들이 완전히 가치의 틀이 없는 상태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아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한 걸음 물러서면, 우리는 가장 무신론적인 세속적 휴머니스트조차도 여전히 매우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틀에 충실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에 대한 존중, 개인주의와 평등권, 그리고 공공 정책을 이끄는 우선 수단으로서의 합리성과 같은 가치를 중심으로 삼고 있음을 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찰될 때, 세속적 휴머니즘은 전통적인 종교와 매우 유사하게 기능한다. 그것은 추종자들에게 그러한 가치에 맞추어 살지 않는 사람들을 벌하거나 피하려는 동기뿐만 아니라,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신성한 가치를 제공한다.
[011~0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Musical innovation happens from the bottom up and the outside in, rather than vice versa; those with power and authority usually (a) oppose these musical innovations, but with time, whether through co-optation or transformation, the innovations become mainstream, and then the cycle begins again. The authority figures who impose their preferred meanings on our messy music have (b) changed over the centuries. In the past, they might have been kings or prophets or esteemed philosophers. In the current day, they can often seem nameless and faceless,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most music fans — for example, the marketing department for the local symphony, designers of school curricula, or judges at music competitions. But in every case, the tools they employ to prevent the sudden (c) invasion of disruptive new ways of music-making follow a predictable path, starting with exclusion, if not outright censorship, and when that fails — as it so often does — shifting to more deceptive methods of containment and repurposing. Upholders of the status quo really have no choice except to push back. The songs of outsiders and the underclass have always posed a (d) threat, and thus must be purified or reinterpreted. The power of music, whether to put listeners into a trance or excite them to action, has always been feared, and thus must be (e) liberated. And the narratives that chronicle and define our musical lives are inevitably written and rewritten in recognition of these vital rules.
*co-optation: (반대파 등을) 흡수
**status quo: 현재 상황
***trance: 무아지경
1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Want Power? Use Music!
② You Can Make Money with Music
③ Music: Mental Therapy for the Underclass
④ Music That Transcends Generations Eventually Succeeds
⑤ Mainstream Resistance in the Early Phase of Musical Innovation
1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음악적 혁신은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밖에서 안으로 일어나지 그 반대쪽으로는 일어나지 않으며, 힘과 권위를 가진 사람들은 대개 이러한 음악적 혁신에 반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를 통해서 든 변형을 통해서든 그 혁신이 주류가 되고, 그런 다음 그 순환이 다시 시작된다. 우리의 혼란스러운 음악에 자신들이 선호하는 의미를 강요하는 권위 있는 인물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해 왔다. 과거에, 그들은 왕이나 예언자이거나 존경받는 철학자였을지도 모른다. 오늘날에는, 적어도 대부분의 음악 팬들의 관점에서, 그들은 흔히, 예를 들어, 지역 교향악단의 마케팅 부서, 학교 교육 과정 설계자 또는 음악 경연의 심사위원들과 같은 무명에 얼굴도 모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이들이 파괴적인 새로운 음악 제작 방식의 갑작스러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예측 가능한 경로를 따르는데, 철저한 검열은 아니더라도, 배제로부터 시작하며, 그것이 종종 그러하듯이 실패하는 경우, 억제와 용도 변경이라는 더 기만적인 방법으로 전환된다. 현재 상황 지지자들은 사실상 반대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외부인과 하층민들의 노래는 항상 위협이 되어 왔으며, 따라서 정화되거나 재해석되어야 한다. 음악의 힘은, 음악을 듣는 사람을 무아지경에 빠뜨릴 수 있는 힘이든, 아니면 행동으로 옮기도록 자극할 수 있는 힘이든, 늘 두려움의 대상이었으며, 따라서 해방되어야(→ 통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의 음악적 삶을 기록에 남기고 정의하는 이야기들은 이러한 중요한 규칙들을 인정하여 필연적으로 쓰이고 다시 쓰인다.
'고등학교 기타 >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10강 (0) | 2022.04.25 |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9강 (0) | 2022.04.21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7강 (0) | 2022.04.14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6강 (0) | 2022.04.14 |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5강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