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기타/수능특강 영어

2023 수능특강 영어 9강 어법 정확성 파악

by ₯₺﷼₳
반응형

9강 어법 정확성 파악

Gateway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Like whole individuals, cells have a life span. During their life cycle (cell cycle), cell size, shape, and metabolic activities can change dramatically. A cell is “born” as a twin when its mother cell divides, ① producing two daughter cells. Each daughter cell is smaller than the mother cell, and except for unusual cases, each grows until it becomes as large as the mother cell ② was. During this time, the cell absorbs water, sugars, amino acids, and other nutrients and assembles them into new, living protoplasm. After the cell has grown to the proper size, its metabolism shifts as it either prepares to divide or matures and ③ differentiates into a specialized cell. Both growth and development require a complex and dynamic set of interactions involving all cell parts. ④ What cell metabolism and structure should be complex would not be surprising, but actually, they are rather simple and logical. Even the most complex cell has only a small number of parts, each ⑤ responsible for a distinct, well-defined aspect of cell life.

* metabolic: 물질대사의 ** protoplasm: 원형질

 

{해석}

온전한 개체와 마찬가지로, 세포도 수명이 있다. 그것의 생명 주기(세포 주기) 동안에, 세포의 크기, 모양, 물질대사 활동은 극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세포는 모세포가 분열하여 두 개의 딸세포를 생성할 때 쌍둥이로 ‘탄생’한다. 각각의 딸세포는 모세포보다 더 작으며,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 모세포의 크기만큼 커질 때까지 자란다. 이 기간에, 세포는 물, 당, 아미노산,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영양소들을 흡수하고 그것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살아 있는 원형질로 만든다. 세포가 적절한 크기로 성장한 후, 그것은 분열할 준비를 하거나 혹은 성숙하여 특화된 세포로 분화하면서 그것의 물질대사가 변화한다. 성장과 발달 모두 모든 세포 부분을 포함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일련의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한다. 세포의 물질대사와 구조가 복잡하리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테지만, 실제로 그것들은 꽤 단순하고 논리적이다. 가장 복잡한 세포조차도 그저 몇몇 부분만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은 세포 생명의 뚜렷이 다른, 명확한 한 측면을 담당한다.

 

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Although simple repetition does help us learn, psychological research has found that we acquire information most effectively with elaboration, which is when we ① actively think about its meaning and relate the material to something we already know. If you want to rememb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psychology, for instance, try to think about how each of the perspectives is different from ② the others. As you make the comparisons, determine what is most important about each one and then ③ relates it to the features of the other perspectives. In an important study ④ showing the effectiveness of elaborative encoding, Rogers, Kuiper, and Kirker found that students learned information best when they related it to aspects of themselves, a phenomenon known as the self-reference effec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magining ⑤ how the material relates to your own interests and goals will help you learn it.

* elaboration: 정교화(정보에 조작을 가하여 그것이 갖는 의미를 심화, 확장하는 사고 전략)

 

{해석}

단순 반복이 우리가 배우는 데 정말로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심리학 연구는 우리가 정교화로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습득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우리가 그것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그 자료를 연관시킬 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심리학의 서로 다른 관점을 기억하고 싶다면, 각각의 관점이 나머지 관점과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라. 비교할 때, 각각의 것(관점)에 관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한 다음, 그것을 다른 관점의 특징과 관련시키라. 정교 부호화의 효과를 보여 주는 중요한 한 연구에서, Rogers, Kuiper, Kirker는 학생들이 정보를 자신의 측면과 관련시킬 때 그것을 가장 잘 배운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자기 참조 효과로 알려진 현상이다. 이 연구는 자료가 자신의 흥미 및 목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상상하는 것이 그것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리라는 것을 보여 준다.

 

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Unlike primary prevention, which aims to prevent diseases from occurring, secondary prevention emphasizes identifying diseases at their earliest stage and treating the conditions early. Research suggests that when disease is ① detected early, there is a far greater chance of treatment with a successful outcome. The health care system is sometimes called the “curative” system due to ② its focus on detecting and treating disease. Examples of secondary prevention are plentiful in the United States ③ because of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condition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or high blood cholesterol. A person with either high blood pressure or blood cholesterol would be prescribed a drug ④ that would help lower either his or her blood pressure or blood cholesterol. Managing chronic conditions by using prescription drugs ⑤ are a feature of the health care system, which has made significant advances in treating chronic conditions.

* chronic: 만성적인

 

{해석}

질병 발생 방지를 목표로 하는 1차 예방과 달리, 2차 예방은 질병을 가장 이른 단계에서 발견하여 그 질환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을 강조한다. 연구는 질병이 조기에 발견되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 가능성이 훨씬 더 커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보건 의료 체계는 질병을 찾아내고 치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때때로 ‘치료’ 체계라고 불린다. 미국에서는 고혈압이나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만성 질환자의 수로 인해 2차 예방 사례가 많다. 고혈압이나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있는 사람은 혈압이나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약을 처방받을 것이다. 처방약을 이용해 만성 질환을 관리하는 것이 보건 의료 체계의 특징인데, 그것은 만성 질환 치료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hen things go wrong in technology — and they always will — harm should be remedied quickly and compensated in proportion to actual damages. The assumption ① which any given technology will create problems should be part of its process of creation. The software industry may offer a model for quick correction: Bugs are expected; they are not a reason ② to kill a product; instead they are employed to better the technology. Think of unintended consequences in other technologies, even fatal ③ ones , as bugs that need to be corrected. The more sentient the technology, the easier it is to correct. Rapid restitution for harm ④ done (which the software industry does not do) would also indirectly aid the adoption of future technologies. But restitution should be fair. ⑤ Penalizing creators for hypothetical harm or even potential harm degrades justice and weakens the system, reducing honesty and penalizing those who act in good faith.

* sentient: 민감하게 반응하는 ** restitution: 배상, 보상

 

{해석}

기술에서 일이 잘못되면(늘 그리되기 마련이지만), 피해가 신속하게 수습되고 실제 손해액에 비례하여 보상되어야 한다. 어떤 특정한 기술이라도 문제를 일으키기 마련이라는 가정은 그 개발 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업계는 신속한 수정을 위한 모델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오류는 예상되는 것이고, 그것은 제품을 없애야 할 이유가 아니며, 대신에 그것은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 분야의 의도치 않은 결과, 심지어 치명적인 결과라도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오류로 생각하라. 그 기술이 더 민감하게 반응할수록, 그것은 수정하기가 더 쉽다. 끼친 해악에 대한 빠른 배상(소프트웨어 업계는 이것을 하지 않는다)은 또한 미래 기술의 채택에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배상은 공정해야 한다. 가상의 해악이나 심지어 잠재적 해악 때문에 개발자를 불리하게 만드는 것은 정의를 타락시키고 체제를 약화시켜, 정직성을 떨어뜨리고 옳다고 믿으며 행동하는 사람을 불리하게 만든다.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 remember when I first started my architectural designing business. The hardest thing for me ① to do was establish a billing rate for my services. I had no real sense of my value from a billing standpoint. I remember ② approaching my first client with an agreement, and I told him that I would charge $50 an hour, which in 1991 terms was low. He said to me, “You’re worth more than that. I’m going to pay you $75 an hour.” And that’s ③ where I started. Some clients love hourly billing, because they know what they can expect. Other clients hate it, because they don’t want you to have an open checkbook to bill all your hours no matter how ④ inefficient you are. I understand both sides of the argument. But in the end you should be paid for the value you bring to the table. The true negotiator knows how to express his value to clients in a way that they understand ⑤ whether it is that they’re paying for.

 

{해석}

내가 처음 건축 설계 사업을 시작했던 때가 기억난다. 내가 하기 가장 힘들었던 일은 서비스에 대한 청구 요금을 정하는 것이었다. 나는 요금을 청구하는 입장에서 내 가치를 현실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 계약서를 들고 내 첫 고객에게 다가갔던 것이 기억나는데, 나는 그에게 시간당 50달러를 청구하겠다고 말했으나, 그것은 1991년의 요금으로는 낮았다. 그는 “당신은 그것보다 더 많은 가치가 있습니다. 시간당 75달러를 지불하겠습니다.”라고 내게 말했다. 그리고 거기서부터 나는 시작했다. 어떤 고객은 시간당 청구를 매우 좋아하는데, 그것은 자신이 예상할 수 있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또 어떤 고객은 그것을 매우 싫어하는데, 여러분이 아무리 무능하더라도 여러분이 모든 시간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는 빈 수표책을 가지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양쪽의 주장을 이해한다. 그러나 결국 여러분은 여러분이 제공하는 가치에 대한 대가를 지불받아야 한다. 진정한 협상가는 고객이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 무엇에 대해서인지를 고객이 이해하는 방식으로 고객에게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n terms of attributions, we tend to overestimate the extent to which other people’s character is responsible for their behavior. However, we tend not to make that error when ① judging our actions. This bias has come to be known as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The main reason why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exists ② appears to be the salience of other people in our perceptions. In other words, people tend to be the most interesting things around us, so we normally pay attention to what they are doing, rather than to what other objects in that field are doing, including ourselves. Because our attention tends to be directed toward other people, it is natural for us ③ to give responsibility to those people when we explain their actions. We are not as likely to have our attention directed toward other things in the situation that could be ④ influenced the person’s actions. In particular, we cannot see ourselves, so we tend to ignore the effect ⑤ that our own behavior has on others. Yet, we are conscious of the effect other things in the situation, including other people, have on our own actions.

* attribution: 귀인, 귀속 ** salience: 두드러짐

 

{해석}

귀인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성격이 그들의 행동의 원인이 되는 정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자신의 행동을 판단할 때는 그러한 잘못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편향은 ‘기본적 귀인 오류’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기본적 귀인 오류가 존재하는 주요 원인은 우리의 인식 속에서 다른 사람들의 ‘두드러짐’인 것 같다. 다시 말해, 사람들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흥미로운 존재인 편이고, 따라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포함해서 그 범위의 다른 대상물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보다는 오히려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보통 주목한다. 우리의 관심이 다른 사람들 쪽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 사람들의 행동을 설명할 때 그들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는 우리의 관심이 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그 상황의 다른 것들 쪽으로 그만큼 향하게 할 것 같지는 않다. 특히, 우리는 우리 자신을 볼 수 없으므로 우리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포함해서 그 상황의 다른 것들이 우리 자신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식한다.

 

6.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n archaeology, ethnographic analogi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evidence for the human origin of prehistoric artifacts. Prehistoric stone tools, for example, were typically thought to be fossils that resulted from natural processes of rock formation in the earth, or ① to have fallen from the sky like meteorites. But, as scholars began to question the accepted view of fossils, they began to compare these stone tools with ② those that they found then in use among the natives of the Americas. They concluded that Europe had once been populated by peoples who had little or no knowledge of metallurgy and made their tools from stone just as the Indians ③ were. For instance, in 1686 the British antiquarian Robert Plot noted that theories about the stone tools manufactured by ancient Britons could be ④ constru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tone tools then manufactured by the North American Indians. The realization ⑤ that stone could be the basis of a whole technology eventually led to the concept of a stone age, in distinction to a bronze age and an iron age, for example.

* ethnographic: 민족지학의 ** metallurgy: 야금(술) *** antiquarian: 골동품 전문가

 

{해석}

고고학에서, 민족지학적인 유사성이 선사 시대의 인공물이 인간으로부터 기원했다는 데 대한 증거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선사 시대의 석기는 일반적으로 지구 암반 형성의 자연적 과정으로 생긴 화석이라거나, 혹은 운석과 같이 하늘에서 떨어졌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학자들이 화석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정된 견해에 의문을 갖기 시작하면서, 이 석기를 자신들이 그 당시 아메리카의 원주민 사이에서 쓰이고 있는 것으로 알아낸 것들과 비교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내린 결론은, 전에 유럽에는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처럼 야금 지식이 거의 혹은 전혀 없어서 돌로 도구를 만든 종족들이 거주했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1686년 영국의 골동품 전문가인 Robert Plot이 언급하기를, 고대 영국인들이 제작한 석기에 관한 이론은 그 당시 북아메리카의 원주민에 의해 제작된 석기와의 비교를 통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돌이 모든 기술의 기반이었을 수도 있다는 깨달음이 결국 예컨대 청동기 시대 및 철기 시대와 구별되는 석기 시대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One of the most exciting areas of current neurological research is the transplantation of human fetal tissue into the brain to repair damage. The transplanted tissue consists specifically of stem cells, “master” cells that not only can regenerate ① themselves but also can develop into any type of tissue, such as muscle or nerve cells. This relatively new procedure is ② being explored as a possible treatment for strokes and 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Parkinson’s and Huntington’s. The significant challenge is to get the newly introduced cells ③ to make the proper connections so that the damaged circuits regrow. Many people oppose the use of fetal tissue for any research purposes, however, on ④ religious or other philosophical grounds. Fortunately, many new methods are emerging ⑤ what allow researchers to create stem cells by reprogramming adult cells.

* fetal: 태아의 ** degenerative: 퇴행성의

 

{해석}

현재 신경학 연구의 가장 흥미로운 분야 중 하나는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인간의 태아 조직을 뇌로 이식하는 것이다. 이식된 조직은 특히 ‘줄기세포’, 즉 스스로 재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육이나 신경 세포와 같은 어떤 종류의 조직으로도 발달할 수 있는 ‘모’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적 새로운 이 방법은 뇌졸중 및 파킨슨병과 헌팅턴병 같은 퇴행성 질환의 가능한 치료법으로 탐구되고 있다. 중요한 과제는 새로 도입된 세포가 손상된 회로가 재생하도록 제대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교적인 이유나 다른 철학적인 이유로, 어떤 연구 목적으로든 태아 조직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행히도, 과학자들이 성체 세포를 다시 프로그래밍하여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게 하는 많은 새로운 방법이 나오고 있다.

 

8.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we are no longer governed by natural selection. Technology can and does take the place of biology and lead us into a new form of life, ① one not primarily governed by Darwinian process. The implications of being the first entity on our planet to escape natural selection ② are immense. We have never been wholly natural creatures, and we have evolved to be increasingly artificial. Even if we should want it, escape from technology is no longer possible. It may in fact be that technology has escaped us: the inertia of the entire system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is by now so immense that the sorts of choices ③ leaving for us to make in the future are essentially trivial. The ride we are now on may be unsustainable, or ④ it may not; but there are many reasons for believing that we are incapable of getting off. Either we crash, or we continue our artificial rise. There is no soft landing into a quieter and more balanced world ⑤ that utopian souls often dream of.

* entity: 존재 ** inertia: 관성

 

{해석}

우리가 더는 자연 선택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기술은 생명 작용을 대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말 그렇게 하고, 우리를 새로운 생명체, 즉 다윈의 진화 과정의 주된 지배를 받지 않는 새로운 생명체가 되게 할 수 있다. 자연 선택에서 벗어난 지구상 최초의 존재가 된다는 것의 영향은 엄청나다. 우리는 전적으로 자연적인 생물이었던 적이 없고, 진화하여 점점 더 인위적인 상태가 되어 왔다. 우리가 원한다고 하더라도, 기술에서 벗어나는 것이 더는 가능하지 않다. 사실 기술이 우리에게서 벗어났을지도 모르는데, 기술 문명 전체 체제의 관성이 이제는 이미 매우 거대해서 미래에 우리가 할 수 있게 남겨진 선택의 종류가 기본적으로 변변치 않다. 지금 우리가 가고 있는 여정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고, 혹은 지속 가능할 수도 있지만, 우리가 내릴 수 없다고 믿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우리는 추락하거나, 우리의 인위적인 상승을 계속한다. 몽상가들이 흔히 꿈꾸는 더 평온하고 더 균형 잡힌 세계로의 연착륙은 전혀 없다.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55_001.mp3
1.27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56_001.mp3
0.98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57_002.mp3
1.04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58_003.mp3
1.12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59_004.mp3
1.00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60_005.mp3
1.21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61_006.mp3
1.26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62_007.mp3
1.01MB
어법 정확성 파악_22005-0063_008.mp3
1.16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