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기타/수능특강 영어

2023 수능특강 영어 독해연습 Mini Test 2

by ₯₺﷼₳
반응형

1. 다음 글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Dear Mr. Randolph, Since my father’s death, I have not had the chance to thank you for your kind words at his funeral. My father always thought highly of you as a tenant, and we were happy to have you living downstairs from him in case of an emergency. Now that we have started the process of dealing with my father’s estate, I wanted to let you know the status of his house. We have decided to put the property on the market: all of us live a considerable distance away and do not want the responsibilities of being landlords. Before we list the house with a real estate agent, though, we wanted to find out if you had any interest in buying the property yourself. We would certainly be happy to consider an offer based on a reasonable discount from the market value because of the savings we would realize in real estate agency commissions and other costs. As you know, the house is a very desirable rental property, and mortgage costs would be largely offset by income from a tenant. If you have any interest, please contact me by October 31. Sincerely, Jennifer Martin

*tenant: 세입자

**mortgage: 주택 담보 대출

① 가족이 멀리 이사 가게 되었음을 통보하려고

② 세입자에게 집주인이 바뀌었음을 알려 주려고

③ 고인이 생전에 남긴 감사 인사를 대신 전해 주려고

④ 세 들어 살고 있는 집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지 물어보려고

⑤ 중개인의 개입 없이 직접 집을 구매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해석}

Randolph 씨께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후, 장례식에서 해 주신 선생님의 다정한 말씀에 감사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아버지께서는 항상 선생님을 세입자로서 높이 평가하셨고, 우리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 선생님께서 아버지의 아래층에 살게 되어 기뻤습니다. 이제 아버지의 재산을 처리하는 절차를 시작했기에 아버지의 집 상황을 알려 드리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그 부동산을 시장에 내놓기로 결정했는데, 우리는 모두 상당히 멀리 떨어져 살고 있으므로 집주인이 되는 책임을 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집을 내놓기 전에, 우리는 선생님께서 직접 그 부동산을 사는 데 혹시 관심이 있는지 알고 싶었습니다. 부동산 중개 수수료와 기타 비용에서 실현할 수 있는 절감 때문에 시장 가격에서 합리적인 할인을 바탕으로 한 제안을 틀림없이 기꺼이 고려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그 집은 매우 가치 있는 임대 부동산이고, 주택 담보 대출 비용은 세입자로부터의 수입에 의해 대부분 상쇄될 것입니다. 만약 관심 있으시면 10월 31일까지 연락해 주십시오.

Jennifer Martin 드림

 

2. 다음 글에 드러난 ‘I’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man, perhaps in his sixties, appeared from somewhere in the back of the bus. He sat next to me and placed his large shopping bag between us. I noticed the bus driver watching him in the mirror. Everything would be all right, I told myself. This man wouldn’t get away with anything. He began to study my worn coat, my desperate hug of my corduroy pants. Bus heat rushed through the soles of my shoes, and I closed my eyes, allowing the warmth to help me forget him. Then he cleared his throat and touched my arm. “Excuse me,” he said, “and pardon me for intruding. But I couldn’t help but notice that you are shivering. Are you all right?” When his eyes met mine I saw something I had never seen before. It was the face of a kind man. “You look tired,” he said. “Have you had a tough day?” When he spoke I realized that I was watching his concern for me take form. The sensation was new, foreign. The bus made a gassy sound as it stopped, and he rose to leave. “I get off here,” he said. “I hope the rest of your Christmas is better than tonight.” I looked into his eyes and felt my throat tighten. For a moment I wanted to take his hand, to hold fast to this rare concern for me.

*corduroy: 코르덴의

① angry → regretful

② satisfied → confused

③ suspicious → grateful

④ embarrassed → proud

⑤ excited → disappointed

 

{해석}

대략 60대쯤으로 보이는 한 남자가 버스 뒤편 어딘가에서 나타났다. 그는 내 옆에 앉았고, 우리 사이에 자신의 큰 쇼핑 가방을 놓았다. 나는 버스 운전사가 거울로 그를 보고 있는 것을 알아차렸다. 모든 게 괜찮을 거라고 나는 스스로에게 말했다. 이 남자는 어떤 것도 훔쳐 달아나지 않을 거야. 그는 내 낡은 외투와 내가 내 코르덴 바지를 필사적으로 끌어안고 있는 것을 유심히 보기 시작했다. 버스의 열기가 내 신발 밑창으로 밀려들었고, 나는 눈을 감고서 그 온기가 내가 그를 잊는 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그때 그가 헛기침을 하더니 내 팔을 건드렸다. “실례해요.” 그가 말했다. “그리고 방해해서 미안해요. 그러나 떨고 있는 것을 알아차릴 수밖에 없네요. 괜찮아요?” 그의 눈이 내 눈과 마주쳤을 때 나는 전에 결코 본 적이 없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친절한 남자의 얼굴이었다. “피곤해 보여요.”라고 그가 말했다. “힘든 하루를 보냈어요?” 그가 말을 했을 때, 나는 나에 대한 그의 걱정이 구체화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느낌은 새롭고 생소했다. 버스가 멈추면서 가스 소리를 냈고, 그는 자리를 뜨기 위해 일어났다. “나는 여기서 내려요.”라고 그가 말했다. “남은 크리스마스가 오늘 밤보다 더 낫기를 바라요.” 나는 그의 눈을 바라보며 목이 메는 것을 느꼈다. 잠시 동안 나는 그의 손을 잡고, 나에 대한 이 드문 걱정을 꼭 붙들고 싶었다.

 

3.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re are risks to taking risks in your sport. Because you will struggle at first, your confidence may also suffer, and you may question whether risk-taking is the right path to be on. You might say to yourself, “Gosh, my past, safer approach worked pretty well, certainly much better than the way this is going now, so maybe I should just stick with what has worked.” But what may have worked in the past and has gotten you to where you currently are won’t work in the future or get you where you want to go. As an old Texas saying goes, “If all you ever do is all you’ve ever done, then all you’ll ever get is all you’ve ever got.” Your efforts shouldn’t be devoted to where you are now but where you want to be next month, next year, or in five years in your sport. You need to prepare yourself for performing at the next level. And performing safe just won’t cut it.

 

① 현재의 수준을 고려하여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② 기본 기술을 충분히 습득한 후 고난도 기술을 훈련해야 한다.

③ 장기적인 성취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도전에도 신경 써야 한다.

④ 시합에서는 부상 없이 안전하게 경기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

⑤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한다.

 

{해석}

여러분의 스포츠에서 위험을 감수하는 데는 위험이 따른다.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을 것이기 때문에 여러분의 자신감도 또한 상처를 입을 수도 있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가야 할 올바른 길인지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 여러분은, “이런, 예전의 더 안전한 방식이 제법 잘, 분명히 지금 진행하고 있는 이 방식보다 훨씬 더 잘 작동했으니, 아마 그냥 지금까지 효과가 있었던 방식을 계속해야 할까 보다.”라고 마음속으로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에 효과가 있었을 수도 있고, 현재 여러분의 위치에 이르게 해 준 것이 미래에는 효과가 없거나 여러분이 목표로 하고 싶은 곳에 이르게 해 주지 않을 것이다. 텍사스의 옛 속담에 있듯이, “만약 여러분이 늘 하는 것이라곤 여러분이 지금까지 늘 해 왔던 것이 전부라면, 여러분이 정말로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곤 여러분이 지금까지 얻었던 것뿐이다.” 여러분의 노력을, 지금 여러분이 있는 곳이 아니라, 여러분의 스포츠에서 다음 달, 내년, 혹은 5년 후에 있고 싶은 곳에 쏟아야 한다. 여러분은 다음 수준의 기량을 보이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안전하게 기량을 보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4. 밑줄 친 the shy student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ink back to elementary school. Remember how your teacher would pose a question and then pause to observe which students would raise their hands to offer an answer? Typically, one assertive student would shout out, “Ooh! Ooh! I know the answer!” and a few of the less-aggressive ones in the back of the room might meekly raise their hands halfway up. The teacher had to decide whether to call on the lone show-off again or one of the shy students in the back. The key to this analogy is that teachers often make the decision to call on a shy student even before they pose a question to the class. And when the shy students realize the teacher is encouraging them to speak up, then more of them become willing to raise their hands. When you encounter a problem, it can evoke several potential solution ideas. Often, there are one or two strong, obvious possibilities, such as running away from the Mann Gulch fire that confronted Wag Dodge. But other ideas, such as using fire as a tool for creating a protective buffer zone, aren’t obvious because they are weakly associated with the elements of the problem. Fighting fire with fire isn’t the first thing that jumps to mind in such situations. These ideas are the shy students, sitting at their temporal lobe desks.

*meekly: 얌전하게

**Mann Gulch fire: Wag Dodge가 이끈 소방팀이 출동했던 1949년 Mann 협곡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temporal lobe: (대뇌의) 측두엽

① unreal solutions interrupting the insightful mindset

② more obvious potentials than the previously proposed ones

③ practical limitations of openness to the full range of possibilities

④ less remote associations that a person adopts to tackle a problem

⑤ alternative considerations that seem unpromising in the beginning

 

{해석}

초등학교를 회상해 보자. 여러분의 선생님이 질문을 던지고 나서 어떤 학생들이 대답을 하기 위해 손을 드는지 보려고 잠시 멈추곤 한 것을 기억하는가? 일반적으로, 한 명의 적극적인 학생이 “오! 오! 제가 답을 알고 있어요!”라고 큰 소리로 말하곤 하고, 교실 뒤쪽에 있는 덜 적극적인 몇몇 학생들이 손을 반쯤 위로 얌전하게 들었을지도 모른다. 선생님은 혼자서 잘난 체하는 학생을 다시 시켜야 할지, 아니면 뒤에 있는 소심한 학생 중 한 명을 시켜야 할지 결정해야 했다. 이 비유의 핵심은 선생님들이 학급에 질문을 던지기도 전에 소심한 학생을 시키기로 결정하는 경우가 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소심한 학생들이 선생님이 자신들에게 의견을 말하라고 격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들 중 더 많은 학생이 기꺼이 손을 들게 된다. 어떤 문제에 부딪히면, 그것은 몇 가지 잠재적인 해결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흔히, 한두 가지 강력하고 분명한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테면 Wag Dodge에게 닥친 Mann Gulch 화재로부터 도망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방어용 완충 지대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불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아이디어들은 그것들이 문제의 요소들과 약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불로 불과 싸우는 것은 그런 상황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니다. 이 아이디어들은 소심한 학생들로 자신들의 측두엽 책상에 앉아 있다.

 

5.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it has been useful to view the construct of culture from a somewhat dichotomous perspective in which the notion of the cultural insider can be contrasted with that of the cultural outsider. Contemporary scholarship has drawn attention to the complexity of this comparison and the considerable subjectivity that lies at the heart of such an often, oversimplified bifurcation. Although music is often associated with cultural identity and therefore susceptible to insider/outsider categorization, the ease with which an individual interacts with any given culture’s music may be more nuanced. Culture-based differences in the way listeners and performers interact with and respond to music are often described by ethnic identity or geographical location which are, in turn, generally treated as categorical constructs. As such, they tend to oversimplify complex relationships, obscure considerable within-group variability, and, most critically, do not hold up well when considering a brain-based understanding of music processing.

*dichotomous: 이분법의

**bifurcation: 둘로 나누기

***susceptible: 영향받기 쉬운

① 음악에서 문화 기반 차이에 의한 범주화는 한계를 갖는다.

② 음악을 대하는 집단 내 반응에는 문화적 공통점이 존재한다.

③ 음악의 이해에서 문화 내부자와 외부자로의 분류는 유용하다.

④ 음악 정보의 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생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⑤ 민족 정체성과 지리적 요인이 음악과 상호 작용을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

 

{해석}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문화 내부자의 개념이 문화 외부자의 개념과 대비될 수 있는 다소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문화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것이 유용했다. 현대의 학문은 이러한 대비의 복잡성과 그러한 흔한, 지나치게 단순화된 둘로 나누기의 핵심에 놓여 있는 상당한 주관성에 관심을 불러 모았다. 비록 음악이 자주 문화적 정체성과 연관되어 있고 따라서 내부자/외부자 범주화에 영향을 받기 쉽지만, 개인이 어떤 특정한 문화의 음악과 상호 작용하는 용이성은 차이가 더 미묘할 수도 있다. 청중과 연주자가 음악과 상호 작용하고 그에 반응하는 방식의 문화 기반 차이는 자주 민족 정체성이나 지리적 위치에 의해 설명되며, 이는 결국 범주적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복잡한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고, 상당한 집단 내 다양성을 가리고, 가장 결정적으로는 음악 처리에 대한 뇌 기반 이해를 고려할 때 잘 들어맞지 않는다.

 

6.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the mistake of much popular criticism to regard poetry, music, and painting, all the various products of art, as but translations into different languages of one and the same fixed quantity of imaginative thought, supplemented by certain technical qualities of colour, in painting; of sound, in music; of rhythmical words, in poetry. In this way, the sensuous element in art, and with it almost everything in art that is essentially artistic, is made a matter of indifference. And a clear apprehension of the opposite principle, that the sensuous material of each art brings with it a special phase or quality of beauty, untranslatable into the forms of any other, an order of impressions distinct in kind, is the beginning of all true aesthetic criticism. For, as art addresses not pure sense, still less the pure intellect, but the “imaginative reason” through the senses, there are differences of kind in aesthetic beauty,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s in kind of the gifts of sense themselves. Each art, therefore, having its own peculiar and untranslatable sensuous charm, has its own special mode of reaching the imagination, its own special responsibilities to its material.

*sensuous: 감각적인

① minor roles of the senses in the aesthetic experience

② ways to translate creative thought into various forms

③ the traditional hierarchy of genres in Western art history

④ the unique beauty of each art with its own sensuous material

⑤ the most common mediums used in art and their characteristics

 

{해석}

시, 음악, 회화, 즉 모든 다양한 예술의 산물을 회화에서는 색깔, 음악에서는 소리, 시에서는 리듬 있는 단어의 특정한 기술적인 특성으로 보완해, 동일한 정해진 양의 상상력을 단지 여러 다른 표현으로 바꾼 것이라고 여기는 것은 많은 대중적인 비평의 실수이다. 이렇게하면, 예술에 있어서 감각적인 요소, 그리고 그것과 함께 예술에서 본질적으로 예술적인 거의 모든 것이 대수롭지 않은 것이 된다. 그래서 각 예술의 감각적인 소재가 다른 어떤 것의 형태로 바꿔 말할 수 없는 미의 특별한 측면이나 특성, 즉 종류가 뚜렷이 다른 인상의 체계를 그것과 함께 가져온다는 정반대의 원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모든 진정한 미학 비평의 시작이다. 예술이 순수 지성은 더 말할 것도 없고 순수 감각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감각을 통한 ‘상상적 사유’를 다루는 만큼, 감각의 특별한 능력 그 자체의 종류 차이에 상응하는 미적 아름다움의 종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예술은, 그 각각의 독특하고 바꿔 말할 수 없는 감각적인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상상력에 도달하는 그 각각의 특별한 방식, 즉 각각의 소재에 대한 그 각각의 특별한 할 일을 가지고 있다.

 

7.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Just as talking about an event is a form of rehearsal that may aid memory, talking or translating an experience into language can help to organize and assimilate the event in people’s minds. An emotional experience, by definition, provokes talking because those who are affected by it are attempting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about it. Language, then, is the vehicle for important cognitive and learning processes following an emotional upheaval. Talking about an event may successfully organize and assimilate it, which will allow the person to move past the upheaval. Ironically, once an event is cognitively assimilated, individuals no longer need to ruminate about it and, once it is out of their minds, they may actually forget about it.

*upheaval: 격변

**ruminate: 곰곰이 생각하다

① Does Emotional Language Help with Communication?

② Negative Experiences Resulting in Language Disorders

③ Talking Out Loud: A Way to Improve Memory Retention

④ Talking as an Aid to Dealing with Emotional Experiences

⑤ How Does Language Development Affect Cognitive Thinking?

 

{해석}

어떤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기억을 도울 수도 있는 리허설의 한 형태인 것처럼, 이야기하기, 즉 어떤 경험을 말로 옮기기는 그 사건을 사람의 머릿속에서 체계화하고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감정적인 경험은 당연히 이야기하기를 불러일으키는데, 왜냐하면 그것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그것을 더 많이 이해하고 그것에 대해 더 많이 알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언어는 그렇다면 감정의 격변 뒤에 이어지는 중요한 인지 및 학습 과정을 위한 수단이다. 어떤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그것을 성공적으로 체계화하고 흡수시킬 수도 있으며, 이것은 그 사람이 그 격변(의 경험)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일단 어떤 사건이 인지적으로 흡수되면,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더는 곰곰이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일단 그것이 그들의 머릿속에서 떠나가 버리면, 그들은 정말로 그것에 대해 잊을 수도 있다.

 

8. 다음 도표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The graph above shows the average yearly spend on health and fitness categories in the UK by gender. ① The average yearly spend overall for women in the UK came in at £1,910, which was more than the average spend overall for men which came in at £1,655. ② Women spent more on gym clothing (£405 yearly) and personal trainers (£263) than men did on each of the two categories; men spent £324 and £172 on the two categories, respectively. ③ Supplements and gym membership were the two biggest categories of expenses in health and fitness for men. ④ Women dedicated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ir budget towards supplements, followed by gym clothing — the amount of money spent on the former was more than twice the amount spent on the latter. ⑤ Among the five categories surveyed, meal plans was the one that showed the lowest average spend for both men and women.

 

{해석} 위의 그래프는 성별에 의한 영국에서의 건강 및 운동 항목에 대한 평균 연간 지출액을 보여 준다. 영국 여성들의 평균 연간 종합 지출액으로 1,910파운드가 소요되었고, 이는 1,655파운드가 소요된 남성들의 평균 종합 지출액보다 더 많았다. 여성들은 운동복(연간 405파운드)과 개인 트레이너(263파운드)에 남성들이 두 가지 항목 각각에 지출한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을 썼으며, 남성들은 두 가지 항목 각각에 324파운드와 172파운드를 썼다. 보조제와 체육관 회원권은 남성들의 건강 및 운동에 있어서 가장 큰 지출의 원인이 된 두 가지 항목이었다. 여성들은 자기 예산의 가장 큰 부분을 보조제에 할애하였고, 운동복이 이를 뒤따랐는데, 전자(보조제)에 지출된 금액은 후자(운동복)에 지출된 금액의 두 배가 넘었다. 조사된 다섯 개의 항목 중에서, 남성과 여성 둘 다에게 있어 평균 지출액이 가장 낮았던 것은 식단이었다.

 

9. Marisa Merz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Italian artist Marisa Merz was a sculptor and painter born in 1926 in Turin, Italy. She was the sole female artist in the influential Arte Povera (poor art) movement, which was a movement that started in Turin in the late 1960s and lasted until the early 1970s. She brought a uniquely female perspective to the movement, often using traditionally domestic crafts, such as knitting and braiding. Often overshadowed by her husband, the Arte Povera pioneer Mario Merz (1925-2003), Marisa Merz had to wait until she was 90 to get the museum recognition she deserved. She did not start making art until she was in her 40s. She began by creating aluminum “Living Sculptures” in her kitchen, and her work was first exhibited in Turin’s Piper Club in 1967. Little is known about Marisa Merz’s early life, including her maiden name. While she was only belatedly recognized as a leading Arte Povera artist, Marisa Merz continued to work until late in life.

*belatedly: 뒤늦게

① 아르테 포베라 운동에 참여한 유일한 여성 예술가였다.

② 전통적인 가내 수공예를 작품 활동에 흔히 사용하였다.

③ 남편의 그늘에 가려져 90세가 되어서야 미술관의 인정을 받았다.

④ 자신의 정원에서 알루미늄으로 만든 작품으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⑤ 젊은 시절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해석}

이탈리아 예술가 Marisa Merz는 1926년에 이탈리아 Turin에서 태어난 조각가이자 화가였다. 그녀는 영향력 있는 아르테 포베라(가난한 미술) 운동의 유일한 여성 예술가였는데, 이것은 1960년대 후반에 Turin에서 시작되어 197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던 운동이었다. 그녀는 뜨개질과 끈 꼬기와 같은 전통적인 가내 수공예를 흔히 사용하며, 그 운동에 독특하게 여성적인 관점을 불어넣었다. Marisa Merz는 아르테 포베라의 선구자인 남편 Mario Merz(1925-2003)의 그늘에 자주 가려져, 90세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야 그녀가 마땅히 받아야 할 미술관의 인정을 받았다. 그녀는 40대가 되어서야 미술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녀는 자신의 부엌에서 알루미늄으로 ‘Living Sculptures’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1967년에 Turin의 Piper Club에 최초로 전시되었다. 결혼 전의 성(姓)을 포함하여, Marisa Merz의 젊은 시절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아르테 포베라의 선구적인 예술가로 뒤늦게야 인정을 받았지만, Marisa Merz는 인생의 후반기까지도 작업을 계속했다.

 

10. Electric Tea Kettle 사용에 관한 다음 안내문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최초 사용 전에 물을 채워서 끓이고 버리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② 망사 필터는 부드러운 솔로 솔질해야 한다.

③ 외관 세척을 위해 세척용 분말의 사용이 권장된다.

④ 물 이외에 다른 액체를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⑤ 구매 후 일 년 내에 제품 자체의 결함 발견 시 무상 수리를 받을 수 있다.

 

{해석}

전기 찻주전자 사용 설명서

■ 최초 사용 전:

주전자를 Max 선까지 채우고 끓이세요. 물을 버리고 이 과정을 2회 또는 3회 반복하세요. 이렇게 하면 제조 공정으로부터 남아 있는 먼지나 잔여물이 모두 제거됩니다.

■ 세척 및 유지:

- 최적의 성능 보장을 위해 망사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합니다. 흐르는 물에 헹구고 낡은 칫솔과 같은 부드러운 솔로 솔질을 하세요.

- 세척용 분말은 표면을 긁을 수도 있기 때문에 외관 세척을 위해 세척용 분말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주의:

- 다시 켜기 전에 주전자가 식을 수 있도록 15~20초 기다리십시오.

- 본 기기는 물을 데우기 위해서만 적합하므로, 다른 액체를 위해 사용하지 마십시오.

■ 보증:

이 제품은 구매일로부터 일 년 내에 자재 결함으로 인한 결함이 발견될 경우 무상 수리가 가능합니다.

 

11. Blanket & Clothing Donation Drive에 관한 다음 안내문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Blanket & Clothing Donation Drive

Warm someone’s heart this season! This is the 2nd annual event held by Harrison County.

■ How YOU can help!

Please collect gently-used and clean blankets and clothes for men, women, teens, and children of all ages and sizes.

■ Deliver!

Please bring your blankets and clothes to Harrison County Community Center at 258 Home Avenue.

■ When:

You can bring your donations every weekday from 7 a.m. till 3:30 p.m. until the end of July, 2022.

■ Thank you for helping the community!

Our goal is to provide 1,000 warm blankets and clothes to the children and adults of our local communities who are in need of warmth. Your donation is greatly appreciated by all.

 

① Harrison County가 2년마다 한 번씩 주최하는 행사이다.

② 아동용 의류는 받지 않는다.

③ 기부 물품은 주민 센터로 직접 가져와야 한다.

④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기증할 수 있다.

⑤ 모은 기부 물품을 해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해석}

담요 및 의류 기부 운동

이 계절에 누군가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 주세요! 이것은 Harrison County가 두 번째로 주최하는 연례행사입니다.

■ ‘여러분’이 도울 수 있는 방법!

조심스레 사용한 깨끗한 담요와 모든 연령과 치수의 남성용, 여성용, 10대용, 아동용 의류를 모아 주세요.

■ 가져오세요!

여러분의 담요와 의류를 Home Avenue 258에 위치한 Harrison County 주민 센터로 가져다주세요.

■ 언제:

2022년 7월 말까지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기부 물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지역 사회를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1,000개의 따뜻한 담요와 의류를 따뜻한 온기가 필요한 우리 지역 사회의 아동과 성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모두가 여러분의 기부를 매우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1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he shrinking of the human-animal divid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was accompanied by a growing concern for animals ① that rivalled, and then arguably surpassed, what had been seen in some European countries a century earlier, during the first great wave of animal protectionism. Clearly, science was not the only factor that brought about the growing concern for animals. The change from horses to automobiles, and the demographic shift from rural to urban living, ② meaning that most people experienced animals as companions and family members rather than in utilitarian roles as providers of transportation or food. The end of two World Wars and the Great Depression freed people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to ③ be concerned about matters other than personal security and the necessities of life. And the media, from nature films to animated cartoons, depicted animals sometimes as fascinating natural beings and sometimes as sympathetic humanized ④ ones. But ⑤ whatever the role of these other factors, the altered scientific understanding of animals reinforced and gave weight to the altered popular understanding.

*demographic: 인구(학)의

{해석}

20세기 후반에 인간과 동물의 경계가 줄어든 것은 동물에 대해 증가하는 관심을 수반했는데, 그것은 한 세기 전 동물 보호주의의 첫 번째 큰 물결 동안 일부 유럽 국가에서 목격되었던 것에 필적하고 그다음에는 거의 틀림없이 그것을 능가했다. 과학이 동물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초래한 유일한 요인이 아니었음은 분명하다. 말에서 자동차로의 변화, 그리고 시골에서 도시 생활로의 인구 이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물을 운송이나 식품 제공자로서의 실용적인 역할에서보다는 동료와 가족 구성원으로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대공황이 종식되어, 산업화된 국가 사람들은 개인의 안전과 생활필수품 이외의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방되었다. 그리고 자연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만화 영화에 이르기까지 미디어는 동물을 때로는 매혹적인 자연의 존재로, 그리고 때로는 공감하는 인간화된 존재로 묘사했다. 그러나 이런 다른 요인들의 역할이 무엇이었든지, 동물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변화는 대중의 이해 변화를 강화하고 강조했다.

 

1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There is much to be said for uniforms in the armed forces. Since they are closely identified with the state and symbolize its unity, their uniforms ① reinforce the consciousness of their national rol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should be suitable for combat. However, this has to be balanced against other equally important considerations. If the yarmulke, turban and other religious apparels were to be disallowed, Jews, Sikhs and others would be ② denied both an avenue of employment and an opportunity to serve their country. Furthermore, the United States is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made up of people of different religious faiths. There is no obvious reason why its national symbols including military uniforms should not ③ ignore that fact. Besides, if differences of mere headdress are likely to detract from collective solidarity, the differences of colour, accent and facial features are likely to do so even more, and we would have to ④ exclude blacks, Asians and others from joining the armed forces. In short, while the uniform should not be discarded, it should be open to appropriate ⑤ modification to accommodate genuine religious, cultural and other requirements, provided of course that they do not compromise military effectiveness.

*yarmulke: 야물커(유대인 남자들이 머리 정수리 부분에 쓰는, 작고 동글납작한 모자)

**detract from: ~을 손상시키다

{해석}

군대의 군복에 대하여 말할 것이 많다. 그것은 국가와 긴밀하게 동일시되고 그 통일성을 상징하기 때문에, 군대의 군복은 그것의 국가적 역할에 대한 의식을 강화한다. 그리고 군복이 전투에 적합해야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이것은 똑같이 중요한 다른 고려 사항들과 견주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만약 야물커, 터번, 그리고 다른 종교적 의상들이 허용되지 않으면, 유대인, 시크교도,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취업의 길과 그들의 조국에 봉사할 기회가 둘 다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미국은 서로 다른 신앙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이다. 군복을 포함한 미국의 국가적 상징물들이 그 사실을 무시하지(→ 반영하지) 말아야 할 명백한 이유는 없다. 게다가, 그저 머리쓰개의 차이가 집단적 연대를 손상시킬 것 같다면, 피부색, 억양, 그리고 이목구비의 차이는 그렇게 할 가능성이 훨씬 더 많아 우리는 흑인, 아시아인,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군대에 들어오는 것을 배제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군복을 버려서는 안 되는 한편, 그것[군복]은 진정한 종교적, 문화적, 그리고 다른 필요조건들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한 수정에 개방적이어야 하는데, 물론 그것들[필요조건들]이 군대의 효율성을 손상하지 않는다는 조건에서이다.

 

1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key factor making it possible to run an industry with a workforce dominated by young, inexperienced part-time employees who do not stay on the job for long is the extreme routinization of the work. When work is routinized, each worker repeatedly performs a limited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instructions provided by management, which minimizes — in fast-food, virtually eliminates — the need or opportunity for workers to exercise discretion. This sort of ________ has a variety of benefits for employers. It increases managerial control over the operation and cuts wage costs by eliminating the need to hire skilled workers. The simplified jobs can be learned quickly, making employers less dependent on experienced workers. Routinization is especially advantageous to fast-food companies because of its capacity to promote uniformity of outcomes. Massive advertising campaigns promise fast-food customers a particular standard of food and service and a predictable kind of experience.

*discretion: (자유) 재량권

① diversity

② expertise

③ flexibility

④ compensation

⑤ standardization

 

{해석}

직장에서 오랜 기간 일하지 않는 젊고 경험이 부족한 시간제 직원들이 다수를 점하는 인력으로 산업체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는 업무의 극단적인 정형화이다. 업무가 정형화되면, 각 노동자는 경영진이 마련한 지시에 따라 제한된 수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노동자가 재량권을 행사할 필요나 기회를 최소화하는데, 패스트푸드점의 경우에는 사실상 이를 없앤다. 이런 종류의 표준화는 고용주에게 다양한 이점을 준다. 그것은 운영에 대한 경영진의 통제를 늘리고 숙련된 노동자를 고용할 필요성을 없앰으로써 임금 비용을 줄인다. 단순화된 일은 빨리 학습될 수 있어 고용주가 숙련된 노동자에게 덜 의존하게 한다. (업무의) 정형화는 결과의 균질성을 증진하는 능력 때문에, 패스트푸드 회사에 특히 유리하다. 대규모 광고 캠페인은 패스트푸드 고객에게 음식 및 서비스에 관한 특정한 표준과 예측 가능한 종류의 경험을 약속한다.

 

15.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n individual is defenseless and unprotected if the community with whom he or she is identified is subjected to assimilation by another, vilification or perverse stereotyping. Just as under colonial conditions, the discourse of individual rights is meaningless without the prior right of the political community to self-government, so individual rights in many situations simply require as a precondition the rights of a community to maintain and reproduce itself. Thus if human rights charters are not to be perceived as instruments of subjugation on the part of the powerful but rather as (what they are intended to be) instruments to empower the weak and vulnerable members of the human species, then we must recognize th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ndeed, article 16 of the UN Declaration of Human Rights clearly states that “the family is the natural and fundamental group unit of society and is entitled to protection by society and the state,” while article 29 states that “everyone has duties to the community in which alone the free and full development of his personality is possible.”

*vilification: 비방

**perverse: 비뚤어진

***subjugation: 정복

① power is dangerous if we abuse it

② rights attach to groups as well as to individuals

③ the notion of human rights is historically different

④ our freedom ends where other people’s rights begin

⑤ all rights are accompanied by corresponding obligations

 

{해석}

개인은 자신과 일체감을 가지는 공동체가 다른 공동체에 의한 흡수, 비방 또는 비뚤어진 유형화를 당하게 되면 방어할 수단이 없고 보호받지 못한다. 식민지 상황에서 개인의 권리에 관한 담론은 그보다 앞서 정치적 공동체의 자치권이 없다면 무의미한 것과 꼭 마찬가지로, 많은 상황에서 개인의 권리는 전제 조건으로 그 자체를 유지하고 다시 만들어 낼 수 있는 공동체의 권리를 그야말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만약 인권 헌장이 힘 있는 자들 편에서 정복의 도구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류의 약하고 취약한 구성원에게 자율권을 주는 도구(인권 헌장이 의도한 바)로 인식되고자 한다면, 우리는 권리가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에게도 귀속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실제로 유엔 인권 선언 16조는 ‘가정은 사회의 자연적이며 기초적인 구성 단위이며, 사회와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는 한편, 29조는 ‘모든 사람은 그 안에서만 자신의 인격을 자유롭고 완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공동체에 대하여 의무를 부담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16.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e have observed individuals who know themselves well but fail to communicate this to others. Since their colleagues are not mind readers, these individuals often remain frustratingly enigmatic unless, through choice and skill, they can overcome their predilection to nondisclosure. Some introverted executives fall into this trap. The problem is made worse by the speed with which leaders are required to make an impact. Organizational time moves faster and faster. We observed a highly talented Silicon Valley executive who spoke to us of her compelling vision for the capacity of technology to transform human lives for the better. She seemed to burn with passion at the prospect. But when we asked her followers what they thought she stood for, they just didn’t know. She ha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enigmatic: 불가사의한

**predilection: 선호

① not found an appropriate vehicle for self-disclosure

②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validation

③ come up with a pretty clear idea of what she wanted

④ never considered a mentor as her developmental tool

⑤ only shown a very limited side of her real personality

 

{해석}

우리는 자신을 잘 알면서도 이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관찰해 왔다. 그들의 동료는 독심술사가 아니기 때문에, 선택과 기술을 통해 비공개에 대한 자신의 선호를 극복할 수 없다면 이런 사람들은 흔히 답답하도록 불가사의한 상태를 유지한다. 몇몇 내성적인 임원들이 이 함정에 빠진다. 지도자들이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요구되는 속도 때문에 문제는 악화된다. 조직의 시간은 갈수록 더 빠르게 움직인다. 우리는 인간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의 능력에 관한 자신의 설득력 있는 비전을 우리에게 이야기한 매우 재능 있는 실리콘 밸리의 임원을 관찰했다. 그녀는 그 가능성에 대해 열정으로 불타는 것 같았다. 하지만 우리가 그녀의 부하 직원들에게 그녀가 무엇을 옹호한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봤을 때, 그들은 도대체 알지를 못했다. 그녀는 자기 표출을 위한 적절한 전달 수단을 찾지 못했던 것이다.

 

1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audience members know that they cannot have a taste of onscreen food, and they must suspend disbelief in order to convince themselves that the film sustenance is actually substantive for anyone, even the actors. Herein lies the social dimension of cinematic cuisine. The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as they consume stage food evaluate the quality of the culinary experience, coding the food as delicious, unfamiliar, or disgusting. The cinematic dining experience thus reveals the binary or dialectical quality of taste, and not only in that one taste is evaluated in opposition to another, but also in that the acting diner impacts the reaction of the imaginary/imaginative diners in the theater seats who have no further access to gustatory sensation. The onscreen eaters teach their viewers to enjoy, ignore, or criticize their food. There is little chance that the audience would imagine an appealing gustatory experience 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ustenance: 음식물

**dialectical: 변증법적인

***gustatory: 맛의

① the visual food cues were just like the real ones

② the images of consumption were coded as unpleasant

③ different types of foods were not used for each scene

④ particular tastes were not common in their culture’s cuisine

⑤ inedible ingredients were used for the appearance of the dishes

 

{해석}

관객들은 자신들이 화면 속 음식을 맛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영화의 음식물이 누구에게나 심지어 배우들에게도 정말로 실재라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 불신을 유예해야 한다. 여기에 영화 음식의 사회적 차원이 있다. 배우들이 무대 음식을 먹을 때 그들의 얼굴 표정은 음식을 맛있거나 생소하거나 역겨운 것으로 부호화하면서 음식 경험의 질을 평가한다. 따라서 영화의 식사 경험은 맛의 이원적 혹은 변증법적인 특징을 드러내는데, 이는 한 맛이 다른 맛과 대비되어 평가된다는 점뿐만 아니라, 연기하는 식객이 맛의 감각 작용에 더는 접근할 수 없는 극장 좌석에 앉아 있는 가상의/상상력이 풍부한 식객들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화면 속에서 음식을 먹는 사람들은 그들의 관객에게 그들의 음식을 즐기거나, 무시하거나 혹은 혹평하도록 가르친다. 만약 먹는 이미지가 불쾌한 것으로 부호화된다면 관객이 매력적인 맛의 경험을 상상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18.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AI and digital technologies are already disrupting the traditional view of democracy, and not always for the better, ensuring that processes are more inclusive. ① In fact, if anything, AI is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democracy and economics, supporting the manipulation of information to meet the needs of a few, and enabling the emergence of super economic powers that are outside democratic scrutiny and control. ② When algorithms are used to decide our access to information about a news item, a political candidate or a business, opinions and votes can shift, and potential governments be made or broken. ③ Because algorithmic censorship is mostly unregulated, large corporations can in principle decide what information we have, outside the traditional democratic processes of governance and accountability. ④ Responsible AI is about human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systems along fundamental human principles and values, to ensure human flourishing and well-being in a sustainable world. ⑤ Moreover, these same corporations also own most of our, and our governments’, data by the conditions under which we use their products to share,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scrutiny: 감시

 

{해석}

인공 지능과 디지털 기술은 이미 민주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시각을 붕괴시키고 있고, 항상 더 좋은 것은 아니며, 과정이 더 포괄적이도록 확실히 하고 있다. 사실 오히려 인공 지능은 민주주의와 자본 환경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소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의 조작을 지원하고, 민주적 감시와 통제를 벗어난 초대형 경제 권력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뉴스 항목, 정치 후보 또는 기업에 관한 정보에 대한 우리의 접근을 결정하는 데 알고리즘이 사용될 때, 의견과 투표는 바뀔 수 있고, 잠재적 정부가 만들어지거나 무너질 수 있다. 알고리즘 검열은 대부분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대기업들은 관리와 책임이라는 전통적인 민주적 과정을 벗어나 우리가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책임 있는 인공 지능은 지속 가능한 세계에서 인간의 번영과 행복을 보장하기 위해 인간의 기본 원칙과 가치관에 따라 지능형 시스템을 개발하는 인간의 책임과 관련된 것이다.) 더욱이, 동일한 이 기업들은 또한 우리가 정보를 공유하고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그들의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에 의해 우리와 우리 정부의 자료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19.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rchaeologists should define what an artifact is — and isn’t. Quite simply, artifacts make up most of the “good stuff,” the stuff that’s worth writing home about from an excavation or a survey — they are things made or altered by human beings.

 

(A) Sometimes, though, we also call something a feature when we’re just not quite sure yet what it is, but we know it’s a “something.” Hence the archaeological axiom “One stone is a stone; two stones is a feature; three stones is a wall.”

 

(B) We call these features. Something like a ditch is a feature — it’s obviously made by a human, but you can’t move it without losing it. The same goes for doorways, fire pits, stone altars, and the like.

 

(C) Within this category, we include everything from the earliest stone tools to pottery, weapons, jewelry, clothes, and pretty much everything else portable that humans can make. Some artifacts, however, and things associated with them, can’t be moved.

*axiom: 공리(公理), 자명한 이치

**ditch: 수로, 도랑

***altar: 제단

① (A) – (C)– (B)

② (B) – (A)– (C)

③ (B) – (C) –(A)

④ (C) – (A)– (B)

⑤ (C) – (B) –(A)

 

{해석}

고고학자는 인공 유물이란 무엇이며 무엇은 아닌지를 규정해야 한다. 아주 간단하게, 인공 유물은 대부분의 ‘좋은 것’, 즉 발굴이나 답사로부터 특별히 내세울 가치가 있는 것을 구성하는데, 그것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개조된 것이다. (C) 이 범주 안에 우리는 가장 초기의 석기로부터 도기, 무기, 보석, 의복, 그리고 인간이 만들 수 있는, 휴대 가능한 그 밖의 거의 모든 것까지 모든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몇몇 인공 유물 및 그것과 연관된 것은 이동될 수 없다. (B) 우리는 이것을 ‘유구(遺構)’라고 부른다. 수로 같은 것은 유구인데, 그것은 분명히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그것을 잃지[훼손하지] 않고는 그것을 이동할 수 없다. 출입구, 화덕, 돌 제단, 기타 등등도 마찬가지이다. (A) 그러나 가끔 어떤 것이 무엇인지를 아직 그다지 확실하게는 모르지만, 그것이 뭔가 ‘중요한 것’임을 알 때, 그것도 또한 유구라고 부른다. 따라서 “하나의 돌은 돌이고, 두 개의 돌은 유구이고, 세 개의 돌은 성벽이다.”라는 고고학적인 공리(公理)가 생겼다.

 

20.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Marketing aims to provide the consumer experience of ‘flow’ — a deep level of involvement and control that extends to total immersion in activities involving prosthetic objects, such that the experience of time slows.

 

(A) The fruits gained by maintaining the hit of flow provided by experiential consumption come at the price of the additional labour required to pay for it, by working at home without cutting back on work in the office. More seriously, those who bought into the consumer dream to sustain their hit of flow in the ‘good times’ now find themselves placed on a shifting cliff of debt.

(B) Whilst marketers seek to link the consumer experience to feelings of empowerment and control, the realities of driving are traffic jams, road rage and the rising costs of motoring, not to mention the occasional accident. Surfers, too, can be overwhelmed, annoyed for passwords they cannot remember, irritated by the daily chore of removing spam from email, or coping with the consequences of spyware, cookies and viruses.

(C) When driving a car, flow is the feeling of oneness with the machine, which performs as if it were an extension of the body. When surfing on the Internet, it is the seamless sequence of responses facilitated by machine interactivity, being intrinsically enjoyable and accompanied by loss of self-consciousness.

*prosthetic: 인공 기관의

**seamless: 중단 없는

① (A) – (C)– (B)

② (B) – (A)– (C)

③ (B) – (C) –(A)

④ (C) – (A)– (B)

⑤ (C) – (B) –(A)

 

{해석}

마케팅은 ‘몰입’, 즉 시간 경험이 느려질 정도로 인공물을 수반하는 활동에 완전히 몰두하는 데까지 이르는 깊은 수준의 참여와 통제에 대한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 자동차를 운전할 때 몰입은 그 기계와 하나가 되는 느낌인데, 그것은 마치 신체의 연장인 것처럼 작동한다. 인터넷 서핑을 할 때, 그것[몰입]은 기계와의 상호 작용성에 의해 촉진되는 중단 없는 일련의 반응인데, 본질적으로 즐거우며 자의식의 상실이 동반된다. (B) 마케팅 담당자들은 그 소비자 경험을 권한 부여와 통제라는 느낌과 연결하려고 하지만, 운전의 현실은 간간이 일어나는 사고는 말할 것도 없고, 교통 체증, 운전 중 분노, 그리고 자동차 운행 비용 상승이다. 인터넷 서핑을 하는 사람들도 그들이 기억할 수 없는 비밀번호 때문에 괴롭거나, 이메일에서 스팸을 제거하는 일상의 잡무에 짜증이 나거나, 스파이웨어, 쿠키, 바이러스의 결과에 대처하며 어찌할 줄 모를 수도 있다. (A) 경험적 소비가 제공하는 몰입의 도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얻는 이익은 사무실의 일을 줄이지 않고 집에서 일함으로써,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데 필요한 추가 노동이라는 비용을 지불하고서 나온다. 더 심각한 것은, ‘잘나가던 시절’에 자신들의 몰입의 도취 상태를 지속시켜 줄 소비자의 꿈을 믿은 사람들이 이제 부채의 불안정한 벼랑에 놓여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2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In this context, passport control is a frontline security task of fundamental importance, because it provides the primary means to quickly determine the nationality and identity of passengers seeking to enter a state.

 

The growth of air travel was one of the major global developm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trend has continued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and will continue into the foreseeable future. ( ① ) Major international airports, such as London’s Heathrow Airport, now handle tens of millions of passengers annually. ( ② ) This has had enormous impact on airport infrastructure and border security checks, and creates a constant pressure between commercial entities and control authorities. ( ③ ) Airlines and airport operators seek rapid movement of passengers through arrival and departure to meet consumer demand, and to increase passenger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 ④ ) As a result, government authorities are under political and financial pressur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passengers through passport control, but must also meet the requirements of immigration law and maintain border and national security. ( ⑤ ) Once this inform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ontrol authorities can proceed to determine eligibility of the passengers to enter under the immigration laws of the state.

*entity: 독립체

**eligibility: 적격성

 

{해석}

항공 여행의 성장은 20세기의 주요 세계 발달 사항 중 하나였다. 이 경향은 21세기에 들어서 지속되어 왔으며 예측 가능한 미래에 지속될 것이다. 런던의 Heathrow 공항 같은 주요 국제공항은 이제 매년 수천만 명의 승객을 처리한다. 이것은 공항의 기반 시설과 국경보안 검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고, 영리 업체와 통제 당국 사이에 끊임없는 압박[긴장]을 만든다. 항공사와 공항 운영자는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고 승객 만족도와 수익성을 증진하기 위해 승객의 신속한 착발 (과정) 통과를 추구한다. 그 결과 정부 당국은 승객의 여권 심사대 통과를 수월하게 하라는 정치적, 재정적 압박을 받지만, 또한 이민법의 요건을 충족하고 국경과 국가의 보안을 유지해야 한다. 이 맥락에서 여권 심사는 근본적으로 중요한 제일선의 보안 과제인데, 그것이 입국하려는 승객의 국적과 신분을 빠르게 알아내는 일차적인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일단 이 정보가 규명되고 나면, 통제 당국은 계속하여 국가의 이민법상 승객의 입국 적격성을 알아낼 수 있다.

 

2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Although most people may benefit from a pure love relationship, based on their unique life contexts, some individuals may experience such relationships as particularly meaningful.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power and value of the human-animal relationship is based on a perceived nonjudgmental emotional support. ( ① ) Both Sigmund Freud and his daughter Anna wrote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 dogs and how this bonding taught them about “pure love” relationships. ( ② ) For example, individuals with a personal history of emotional deprivation and abuse in their formative years may find that pets become more consistent and reliable others to which they can turn. ( ③ ) The relatedness encompassed within human-animal companionship may in turn foster an individual’s ability to connect with others in more appropriate ways. ( ④ ) Pet companionship may also serve as a source of emotional sustenance for those who have no or limited connection with other people. ( ⑤ ) But even when the world does not seem like a terrible place, we are all still in need of reliable ties that can be counted upon, ones that shape the very essence of who we are.

*sustenance: 자양분

 

{해석}

일부 학자들은 인간과 동물 간의 관계가 가진 힘과 가치는 인지된 비심판적 정서적 지원에 기초한다고 주장해 왔다. Sigmund Freud와 그의 딸 Anna는 둘 다 개와 함께했던 개인적인 경험과 이러한 유대가 어떻게 그들에게 ‘순수한 사랑’의 관계에 관해 가르쳐 주었는지에 관해 썼다. 비록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고유한 삶의 여건에 기초하여 순수한 사랑의 관계로부터 덕을 볼 수도 있지만, 일부 사람들은 그러한 관계를 특별히 의미 있게 경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격) 형성기에 정서적 결핍과 학대의 과거력을 가진 사람들은 반려동물이 자신이 의지할 수 있는 더 일관되고 신뢰할 만한 상대가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될 수도 있다. 인간과 동물 간의 우정 안에 내포된 유대 관계는 결과적으로 한 개인이 더 적절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가까워질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줄 수도 있다. 반려동물과의 우정은 또한 다른 사람과 전혀 관계를 맺지 않고 있거나 혹은 한정된 관계만 맺고 있는 사람들에게 정서적 자양분의 원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세상이 끔찍한 곳처럼 보이지 않을 때조차도, 우리는 모두 여전히 의지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유대, 즉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의 바로 그 본질을 형성하는 유대를 필요로 한다.

 

23.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 a personal level, we have always been aware of the elasticity of time. Good times seem short and bad times seem to last forever. Neuroscientists have shown that in some respects this is not fiction. The length of our memories is linked to how good or bad the occasions are. What neuroscientists have found is that we don’t perceive time slowing down in the moment, but our recall of the event makes us believe that time has slowed down. To understand what is going on in the brain, imagine that the brain acts like a computer that stores information on a hard drive. When life is boring, the hard drive stores a regular amount of information. When we are scared, however, as during a car accident, the brain’s amygdala — our internal emergency operator — kicks in. Our brains collect finer details like the crumpling of the hood, the breaking off of side-view mirrors, and the changing of the expression on the other driver’s face. The amount of detail gathered is increased, as if two hard drives are storing the data. More data gets stored. When the brain recalls the event, it interprets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s a longer incident.

*elasticity: 탄력성, 융통성

**amygdala: 편도체

***crumple: 찌그러지다

When we (A) events, moments like serious accidents feel stretched, because of the increased (B) of information in the brain.

 

         (A)                   (B)

① remember …… quantity

② analyze …… variability

③ simulate …… flexibility

④ memorize …… durability

⑤ describe …… applicability

 

{해석}

개인적 차원에서 우리는 언제나 시간의 탄력성을 인식해 왔다. 좋은 시간은 짧은 것처럼 보이고 나쁜 시간은 아주 오래 지속되는 것처럼 보인다. 신경 과학자들은 어떤 점에서 이것이 허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우리가 기억하는 것의 길이는 그때가 얼마나 좋거나 나쁜지에 연계되어 있다. 신경 과학자들이 알아낸 것은, 우리는 그 순간에 시간이 느려지고 있는 것을 인지하지 않는데, ‘그러나’ 그 일에 관한 우리의 회상이 우리가 시간이 느려졌다고 느끼게 만든다는 것이다. 뇌에서 무슨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뇌가 하드 드라이브에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처럼 작동한다고 생각해 보라. 삶이 따분할 때 그 하드 드라이브는 보통 양의 정보를 저장한다. 하지만 자동차 사고에서처럼 우리가 겁이 날 때는 우리 내부의 비상사태 운영자인 뇌 편도체가 기능을 발휘한다. 우리의 뇌는 엔진 덮개가 찌그러진 것, 사이드 미러가 떨어져 나간 것, 그리고 상대 운전자의 얼굴에 드러난 표정의 변화와 같은 더 세세한 세부 사항을 모은다. 두 개의 하드 드라이브가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처럼, 모아진 세부 사항의 양이 증가된다. 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뇌가 그 일을 회상할 때, 뇌는 그 많은 양의 정보를 더 긴 사건으로 해석한다.

→ 우리가 일을 상기할 때, 심각한 사고와 같은 때는 뇌 속 정보의 의 증가 때문에 늘어난 것처럼 느껴진다.

 

[024~02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re is a particular problem in not having an adequate statistical framework for measuring intangible value, which is that much of it consequently gets undervalued. There are large and growing swaths of the economy where productivity as it is conventionally measured simply cannot (a) grow. In fact it’s not clear what “productivity” means when there is no tangible product. In an intangible service-based economy, we need to be measuring something else entirely. But because an (b) inappropriate definition of productivity is what gets measured, and doesn’t in fact increase, large and increasing parts of the economy are systematically undervalued, as are the people who work in those jobs. For example, performing artists only have a maximum of 365 nights a year on which they can do a show, and can’t become more “productive.” Nurses become arguably less, not more, productive in a meaningful sense if they treat (c) fewer patients but the statistics work the opposite way. In the online economy, digital products can show (d) infinite productivity — they can be duplicated essentially for free — but if they’re priced for free, they will perhaps not be produced in the desirable quantities. In these varied exampl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asurement isn’t up to assessing the things we value (in a noneconomic sense), which in turn actually makes it (e) hard to value them in the monetary sense.

*swath: 영역

 

24.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rading Intangible Assets: Big Risks, Big Rewards

② Causes of Low Productivity Among Service Workers

③ Limitation of Conventional Value Measurement Framework

④ Is Transitioning to a Service-Based Economy a Good Thing?

⑤ Marketing Intangibles: How to Sell What Customers Can’t See

 

25.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해석}

무형(無形)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통계적인 틀이 없다는 것에는 특별한 문제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곧 그것[무형의 가치]의 많은 부분이 결과적으로 과소평가된다는 것이다. 관례대로 측정되는 바로서의 생산성이 결코 증가할 수 없는, 거대하고 점차 커지고 있는 경제 영역이 있다. 실제로 유형(有形)의 생산물이 없을 때 ‘생산성’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무형의 서비스 기반 경제에서, 우리는 완전히 다른 어떤 것을 측정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정의의 생산성이 측정되는 것이고, 그것은 실제로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의 광범위한 그리고 커지고 있는 부분이 체계적으로 과소평가되고 있고, 그러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도 또한 그러하다. 예를 들어, 공연 예술가들은 단지 일 년에 최대 365일 밤에만 공연을 할 수 있고 더 ‘생산적’이 될 수는 없다. 간호사들은 만약 더 적은(→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한다면 거의 틀림없이 유의미한 의미에서 더 생산적이 아닌, 덜 생산적으로 될 것이지만 통계 자료는 반대로 나온다. 온라인 경제에서 디지털 제품들은 근본적으로 무료로 복제될 수 있으므로 무한한 생산성을 보여 줄 수 있지만, 만약 가격이 무료로 매겨지면 그 제품들은 아마도 바람직한 수량으로 생산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예시에서, 측정의 개념적 틀은 우리가 (경제 외의 의미로)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을 평가하지 못하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금전상의 의미에서 그것들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실제로 어렵게 한다.

 

[026~02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Wally Kurlig was a lonely child. Wally happened to be retarded. Already eleven years old and just starting the third grade, he was physically awkward and much larger than his classmates so was seldom invited to play in any ball games. The poor kid would stand by himself on the sidelines and watch. He was gentle and kind and, by virtue of (a) his size, a natural protector of the little kids who had problems. No one would dare cause trouble for the younger children when burly Wally was near.

*retarded: 지능 발달이 더딘

**burly: 건장한

(B) They looked at him with pleading eyes as Joseph begged, “Please, sir, we are in urgent need of lodging.” But Wally yelled as (b) he had been told, “There is no vacancy. Go away!” Joseph begged, “My wife is about to give birth. Surely there must be some place for us.” At this point, the irritated innkeeper was supposed to say unfriendly, “I said there is no room in here! Go around back and sleep in the barn if you want.”

 

(C) In the children’s Christmas play that year the director chose Wally to play the role of the innkeeper. (c) He figured that because of Wally’s size, his refusal would be more dramatic. Everyone was confident that he would act out his part well because when he put his heart into something, he gave it his all. The annual Christmas program started in the usual fashion and before long, Mary and Joseph, the expectant mother and her betrothed, had made their way to the inn. Joseph knocked on the door and a cold voice demanded, “What do you want?”

*betrothed: 약혼자

(D) However, Wally got caught up with his feelings and forgot that this was only acting. He stood there in genuine sorrow, pondering the situation. For (d) him this was no longer a pretend production — it was really happening. His Sunday school teacher, assuming he had forgotten his lines, whispered, “Send them on their way.” As Mary and Joseph turned to go, the audience saw Wally’s face. It was filled with sadness as tears started to flow. All of a sudden (e) he shouted: “Please come back! I’ll sleep in the barn and you stay in my room!” No one who was present that night will be able to forget how deeply they were touched by that scene.

 

26. 주어진 글 (A)에 이어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B)-(D)-(C)

② (C)-(B)-(D)

③ (C)-(D)-(B)

④ (D)-(B)-(C)

⑤ (D)-(C)-(B)

 

27. 밑줄 친 (a)∼(e) 중에서 가리키는 대상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28. 윗글에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Wally는 공놀이에 끼지 못하고 혼자 서 있곤 했다.

② 요셉의 간청에 여인숙 주인은 매정하게 대답하기로 되어 있었다.

③ 크리스마스 연극 연출자는 Wally를 여인숙 주인 역할로 뽑았다.

④ Wally는 자기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고 연기했다.

⑤ 주일 학교 선생님은 Wally가 대사를 잊었다고 여겼다.

 

{해석}

(A) Wally Kurlig는 외로운 아이였다. Wally는 공교롭게도 지능 발달이 더뎠다. 이미 11살이면서 3학년을 막 시작한 그는 신체적으로 움직임이 서툴고 자기 반 친구들보다 훨씬 더 커서 어떤 공놀이 시합에도 하자고 요청받는 일이 거의 없었다. 그 불쌍한 아이는 사이드라인에 혼자 서서 지켜보곤 했다. 그는 온화하고 친절했고, 그의 덩치 덕분에 자연스럽게 문제가 있는 어린아이들의 보호자였다. 건장한 Wally가 가까이 있으면 아무도 감히 더 어린아이들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곤 했다.

 

(C) 그해 아이들의 크리스마스 연극에서 연출자는 여인숙 주인 역에 Wally를 뽑았다. 그는 Wally의 덩치 때문에 그의 거절이 더 극적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가 어떤 일에 열중하면 그 일에 자신의 전부를 바쳤기 때문에 모두들 그가 자신의 역할을 잘 해낼 것이라고 확신했다. 매년 열리는 크리스마스 프로그램은 늘 하던 방식으로 시작되었고, 얼마 후, 임신부와 그녀의 약혼자인 마리아와 요셉이 여인숙으로 향했다. 요셉이 문을 두드리자 차가운 목소리가 “뭐가 필요하시오?”라고 물었다.

 

(B) 요셉이 “제발, 아저씨, 저희는 잠잘 곳이 몹시 필요합니다.”라고 간청하면서, 그들은 애원하는 눈으로 그를 바라보았다. 그러나 Wally는 자신이 지시받은 대로, “빈방 없어요. 가시오!”라고 소리쳤다. 요셉이 “제 아내가 곧 출산할 것 같습니다. 분명 저희에게 주실 어떤 장소가 있을 겁니다.”라고 간청했다. 이 순간에, 짜증이 난 여인숙 주인은 매정하게, “나는 여기에 방이 없다고 말했소! 원한다면 뒤로 돌아가서 헛간에서 주무시오.”라고 말하기로 되어 있었다.

 

(D) 하지만, Wally는 자기의 감정에 사로잡혔고 이것이 연기일 뿐이라는 것을 잊었다. 그는 그 처지를 곰곰이 생각하면서 진짜 슬픔에 잠겨 거기에 서 있었다. 그에게 이것은 더 이상 가짜인 연극 작품이 아니었고 그것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었다. 그의 주일 학교 선생님은 그가 자기 대사를 잊어버렸다고 여겨서, “그들이 제 갈 길을 가게 해.”라고 속삭였다. 마리아와 요셉이 가려고 돌아섰을 때, 청중들은 Wally의 얼굴을 보았다. 그의 얼굴은 눈물이 흐르기 시작하면서 슬픔으로 가득 차 있었다. 갑자기 그는 소리쳤다: “돌아오세요! 내가 헛간에서 잘 테니 당신들은 내 방에서 주무시오!” 그날 밤 참석했던 그 누구도 그 장면에 자신들이 얼마나 깊은 감동을 받았는지 잊을 수 없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